1. 서 론
2. 연구의 이론고찰
3. 연구방법
3.1 분석자료 수집 및 검토
3.2 네트워크 도로 데이터 구축
3.3 대상지 현황분석
3.4 대피소 후보지 기준 및 지점 설정
3.5 고령자 보행속도 기준 설정
3.6 경사에 따른 보행속도 기준 설정
4. 분석결과
5. 효율적 주민대피계획
5.1 대피대상에 따른 주민대피계획
5.2 상황에 따른 주민대피계획
5.3 대시민 교육 및 홍보
6. 결 론
1. 서 론
2024년 7월, 전국 기록적인 폭우로 인하여 도심이 침수되고 하천이 범람하는 등 피해가 속출하였다. 전북 군산 어청도의 경우 기상 관측 이래 최대 기록인 시간당 146 mm의 비가 내려 4백여 가구가 침수되었고, 전북 익산은 시간당 125.5 mm, 충남 서천에 시간당 111.5 mm, 충남 부여에는 시간당 106 mm의 집중호우가 내렸다. 극한적인 강우로 인하여 경상북도 16개 시군 내 1,304가구 1,829명이 사전대피하는 상황이 발생하였다.
국내 풍수해로 인한 막대한 인명과 재산피해로 인하여 1961년 ‘재해대책기본법’이 제정되었으며, 2002년 태풍 ‘루사’로 인한 대규모 재해 발생을 계기로 ‘범정부적 수해방지 대책’이 마련되어 2004년 비상대처계획 수립근거가 법제화되었다. 이후 자연재해의 불확실성과 빈도가 높아짐에 따라 이를 대처·대응하기 위한 법제도가 제정 및 개선되고 있다.
비상대처계획은 예기치 못한 대규모의 재난재해가 발생했을 경우를 대비하여 잠재된 비상상황을 대비하고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관리기관 및 주민이 취해야 할 절차와 분석 시나리오 기반으로 행동요령을 제시한다. 또한 「저수지·댐의 안전관리 및 재해예방에 관한 법률」에 따라 5년마다 계획의 타당성을 전반적으로 재검토하고 정비하도록 명시하고 있으며, 저수지 비상대처계획 수립대상은 총저수용량이 20만 세제곱미터 이상 의무화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 저수지 90%가 20만세제곱미터 미만의 중소규모 저수지로 해당 저수지 하류부에 거주하는 주민 대피방안 설정이 부재한 상황이다. 극한적인 기상이변으로 저수지의 붕괴 및 막대한 물이 유입되면 주민들에게 긴급대피 상황을 신속하게 전달하고 안전한 지역으로 대피하도록 유도해야 하나 대피시간 안에 주민을 수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다. 또한 풍수해대피소, 민방위대피소, 지진대피소 등의 대피소는 특정 지역에만 분포되어 있어 일부 지역 주민들의 안전확보 여건이 미흡한 상황이다.
미국의 경우 NWS (National Weather Service)는 NWSRFS (National Weather Service River forecast System) 라는 홍수재해 통합프로그램을 구축하여 운영하고 있어 돌발홍수에 대응할 수 있는 시스템을 현업에서 운영하고 있다. 영국의 Institute of Hydrology는 홍수예보, 유역분석, 위험도 평가, 위험지도 작성을 위한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으며, 네덜란드의 Delft Hydraulics에서는 레이더 자료구축, 홍수추적, 비상대처계획 구축 등에 의한 예·경보시스템을 운영하여 일반 주민에게 보급하고 홍수위험지도에 따른 모의 대피훈련을 수행하고 있다. 일본 도쿄의 경우 지역방재계획에 따라 집중호우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지하철 방수문을 설치하거나 저류지를 조정하고 홍수위험지도앱(Tokyo Disaster Preparedness App)을 구현하여 주민이나 관리자가 홍수위험 현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선진사례들은 홍수재해 관리차원에서 기술적, 행정적 접근 방식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며 체계적인 계획과 실질적인 주민대응 방안을 통해 재난 피해를 줄이고 있다는 점에서 국내 재난관리 정책에 시사점을 제공한다.
본 연구는 국내 중소규모 저수지의 특성과 지역적 상황을 반영하여 재난 대응 및 대피계획을 수립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연구 대상인 경주시 강동면 유금저수지는 20만세제곱미터 미만의 중소규모 저수지로, 행정안전부의 연구과제 ‘이상기후 대비 지자체 중소규모 노후 저수지 주민대피 예·경보 및 긴급방류 기술개발’의 테스트베드로 선정된 곳이다. 해당 지역은 주민대피를 위한 구체적인 계획이 미비하여 재난 발생 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본 연구는 공간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유금저수지 하류부 거주 주민들의 대피경로와 대피지역의 입지 적정성을 분석하고, 특히 취약계층의 보행특성과 공간 접근성을 반영한 대피계획을 수립하여 주민 안전 확보를 위한 효과적인 재난 대응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2. 연구의 이론고찰
서울시 성북구의 경우 대피소의 설정은 근거리로 도보가 가능한 지역을 중심으로 지정하고 있으며, 일본의 경우 재해대책기본법에 따라 지역의 방재계획을 수립하는데 있어 자연재해 대피소는 도보대피를 기준으로 설정하고 있으며 이는 응급상황시에 구조 구호 차량의 원활한 이동이 중요하기 때문이다(Lee et al., 2015). 도보로 대피하는 상황에 있어서 대피소와의 거리, 지형지물 등에 물리적인 요소와 개인의 보행능력에 따라 영향을 줄 수 있다. 고령자의 경우 신체능력의 저하로 지형 등의 외부환경 변화에 더 큰 영향을 미쳐 고령자 보행수준으로 고려해야 한다.
Lee et al. (2015) 연구에서는 서울시에 거주하는 5~9세 어린이, 65세 이상 고령자, 그 외 그룹의 신체적 능력을 고려하여 대피시간 7.5분, 15분, 30분별 대피소 유효성을 분석하고 자연재난 대피소의 입지의 문제점과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속도기준은 연령계급별 운동능력 지수를 적용하여 65세이상 74세미만 고령자는 47.0 m/min, 75세 이상은 41.8 m/min로 적용되었다. Kim and Lee (2018) 연구에서는 군산을 사례대상지로 분석하였다. 경사 이동부하를 고려하여 도보거리의 계측하였으며, 보행자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대피소별 수용범위를 설정하고 적합한 서비스 영역과 경로를 제시하였다. 속도기준은 노약자의 근거리 대피 이동 수준을 5분에 300 m로 가정하고 60 m/min으로 적용하였다. Dong et al. (2019) 연구에서는 부산광역시를 사례지역으로 안전 취약계층이 방사선 비상계획구역 중 긴급보호조치계획구역의 대피시설에 도달하는지에 대한 입지 적정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재난 약자에 대한 공간적 분포를 분석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속도기준은 선행된 연구사례를 바탕으로 48.0 m/min 로 적용하였다. Hong et al. (2011) 연구에서는 시니어장비를 착용한 일반인과 실제 고령자의 혼합비율을 설정하여 자유 보행속도를 측정한 결과, 고령자 10% 비율일 때는 58.2 m/min, 45% 비율일 때는 45.0 m/min로 나타났다. Jung et al. (2018) 평창 농촌 지역 고령화 인구 1,348명을 대상으로 4 m 길이의 보행속도 측정 결과 남성 고령자의 보행속도는 평균 51.0 m/min, 여성 고령자의 보행속도는 평균 42.5 m/min로 나타났다. Kang et al. (2021) 연구에서는 106명의 실험참가자(평균 연령 71.1세, 표준편차 7.6세)의 총 217,578개의 일상생활 보행속도 측정치를 분석한 결과 일상생활 평균 보행속도 73.8 m/min로 나타났다. 관련된 선행 연구조사를 통해 고령자 보행속도 기준이 정리된 내용은 Table 1과 같다.
Table 1.
Researcher | Derivation method | Walking speed | Note |
Hong et al. (2011) | Measurement | 58.2 m/min | 10% elderly group |
45.0 m/min | 45% elderly group | ||
Lee et al. (2015) | Index application | 47.0 m/min | Ages 65 to 74 |
41.8 m/min | 75 and older | ||
Kim and Lee (2018) | Research design | 60.0 m/min | - |
Jung et al. (2018) | Measurement | 51.0 m/min | Men (65 and older) |
42.5 m/min | Women (65 and older) | ||
Dong et al. (2019) | Previous research | 48.0 m/min | - |
Kang et al. (2021) | Measurement | 73.8 m/min | Ages 65 to 78(mean age of 71) |
3. 연구방법
본 연구는 중소규모 저수지 붕괴로 인한 홍수위 상승의 상황에서 주거건물이 침수되기 이전 안전확보를 위한 대피장소를 설정하고 효율적인 대피 및 대응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에 따른 분석방법은 재해취약 대상인 고령자의 보행속도와 연구대상의 공간적인 환경을 반영하여 공간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한다. 공간 네트워크 분석은 노드(node)와 엣지(edge)로 구성된 네트워크의 특수한 형태로, 네트워크의 노드와 엣지가 물리적 공간에서 위치와 거리에 영향을 받는 경우를 말하며 네트워크 분석요소는 다음과 같다.
노드(Node): 네트워크의 기본 단위로, 특정한 지리적 위치를 나타내며, 교통망에서 노드는 도로의 교차로나 철도역을 의미한다.
엣지(Edge): 노드 간의 연결을 나타내며, 이 연결은 물리적 공간에서 특정한 거리나 경로를 의미하며, 도로망에서는 도로 자체가 엣지로 작용된다.
위치(Location): 각 노드와 엣지의 위치는 물리적 공간에서의 좌표로 표현되며, 이 좌표는 보통 2차원 또는 3차원 공간에서 표현된다.
거리(Distance): 노드 간의 거리는 공간 네트워크에서 중요한 요소로 유클리드 거리(직선 거리)나 실제 경로의 길이로 측정될 수 있다.
공간 네트워크 분석은 도로망과 같은 네트워크 상에서 기종점 간의 연결성을 평가하여, 기반 시설의 이동, 자원의 공급, 응급 서비스의 접근성 등을 분석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와 관련된 선행 연구들은 다양한 공간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공간 네트워크 분석 기법을 적용한다.
연구에 활용되는 주요 정보는 설정된 저수지 하류지역 경계를 바탕으로 건축물, 도로정보, 이동 시작점인 출입구 정보, 주민 특성 정보 등의 데이터를 구축하여 단계별로 분석을 수행하고자 한다.
첫 번째는 대상 저수지의 제원 및 하류부의 특성을 살펴보고 하류부의 공간적 범위를 설정하도록 하며, 두 번째는 침수가 예상되는 공간적 범위에 해당하는 주민 대피 규모와 대피가 가능한 지점을 설정하도록 한다. 세 번째는 고령인구에 따른 고령인구의 보행능력과 경사에 따른 보행속도 기준을 적용하여 공간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하고 분석에 따른 결론을 도출하며 끝으로 효율적인 주민대피계획에 대해 제언하도록 한다. 연구수행방법은 Fig. 1과 같다.
3.1 분석자료 수집 및 검토
본 연구는 유금저수지 하류 지역 주민의 생명과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유효한 대피 지점을 설정하고, 공간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효율적인 대피계획을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경로 분석에 필요한 침수구역 공간 데이터와 도로 네트워크 데이터가 활용된다. 침수구역 데이터에는 시간별 침수 범위와 침수심이 포함되며, 유금저수지 붕괴 시나리오에 따라 붕괴 발생 후 1시간 동안의 5분 단위 침수구역에 대한 공간데이터를 수급받아 연구를 진행하였다.
공간 네트워크 분석을 위해 주소기반산업지원서비스의 도로명주소 전자지도 도로 구간 데이터(TL_SPRD_MAVA GE DB)를 가공하여 네트워크를 구축하였고, 경사에 따른 이동 환경의 변화와 침수 범위에 따른 안전 지점 여부를 검토하기 위해 국토지리정보원 수치표고모델(DEM) 데이터(격자간격 5 m)를 활용하였다.
연구 대상인 유금저수지 하류 지역에는 경상북도 경주시 유금1리와 유금6리(위덕삼성아파트)가 포함되며, 건축물은 아파트 1단지 내 16동(960세대), 단독주택 145동(145세대)그리고 연립주택 1동(3세대)으로 분포하고 있다. 그 외 창고 시설 3동과 동식물 관련 시설 1동도 위치하고 있다. 대상 지역의 상세 인구 현황을 파악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으나, 현재 수집 가능한 읍·면·동 단위의 인구 정보를 활용하여 고령화 정도를 분석하였다. 2023년 기준 경주시 강동면의 총 인구는 5,980명으로, 이 중 65세 이상 인구는 2,402명(40%)에 해당한다. 이는 전국 평균 65세 이상 인구 비중인 20% (전국 65세 이상 인구 1,011만 명/전국 총 인구 4,997만 명)와 비교해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이다.
3.2 네트워크 도로 데이터 구축
대상지는 경상북도 경주시의 안전관리계획에 따라 하천 홍수 대피 지정 대피소로 위덕대학교와 강동초등학교가 설정되어 있다. 그러나 위덕대학교의 경우 육교를 이용해야 접근할 수 있어 거동이 불편한 주민들에게 접근성이 떨어지고, 강동초등학교는 주거밀집지역에서부터 거리가 멀어 실질적인 대피장소로 활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러한 상황은 특히 재난 상황에서 취약계층의 안전 확보에 한계를 초래할 수 있다. 이에 임의의 대피장소를 설정하고 해당 지점으로의 대피가 가능한지에 대한 유무를 판단하고 추가적인 네트워크 구축이 필요하겠다.
먼저 공간 네트워크 분석을 위해 도로 네트워크 정보(TL_ SPBD_MANAGE)를 도로명 주소 기반의 전자지도에서 수급하여 네트워크를 구성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도로명 주소 개발자센터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공간 네트워크 구성과 분석에는 오픈소스 기반의 지리정보시스템 소프트웨어인 QGIS를 사용하였다. 수급한 도로 네트워크 데이터는 건축물에서 대피시설까지의 도로가 끊어지거나 미연결된 부분이 존재하여 네트워크 보정작업을 진행하였다. 현장조사와 위성사진을 참조하여 보행이 가능한 보행로 및 도로를 확인하고 건축물에서 대피시설까지 도로를 추가 연결한 신규 네트워크 데이터를 구축하였다. 이와 같이 구축된 네트워크 정보를 활용하여 주민이동 시작점(주거건물)부터 대피지점까지의 효율적으로 대피할 수 있는 최적경로를 추정한다. 네트워크 도로 데이터 구축된 이미지는 Fig. 2와 같다.
3.3 대상지 현황분석
본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경북 경주시에 위치한 유금저수지의 하류부 지역으로 시설붕괴로 인한 홍수발생시 긴급대피가 필요한 지역이다. 유금저수지는 1945년에 준공되어 79년 이상 경과된 노후화된 시설로 2024년 3월 기준으로 안전점검 C등급으로 평가되었다. 하류부에는 하천연장 1.4 km, 유역면적 2.6 km2, 유로연장 3.2 km 소하천 유금큰천이 유금저수지 방류지점으로 기점으로 하며 국도 28번의 동측을 따라서 남쪽 방향으로 유하(流下)하여 내동천의 좌안으로 합류한다. 중상류부 좌안에 위덕삼성타운아파트 단지가 조성되어 있고, 중하류에는 경부선 포항행 KTX가 횡단하며, 하류는 농경지 구간을 관류하게 되어 있다.
유금큰천은 위덕삼성타운 단지의 유일한 주출입구 근처에 위치하고 있어, 저수지 붕괴 시 유금큰천의 범람 여부를 면밀히 검토할 필요가 있다. 유금큰천은 하천 연장이 짧고 경사가 급하여 물이 빠르게 하류로 도달할 가능성이 높아, 저수지 붕괴 시 단시간 내 하류 지역이 범람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하류에 위치한 위덕삼성타운 아파트 단지는 붕괴 발생 후 10분 이내에 단지를 벗어나야 한다. 단독주택의 경우, 분포 특성과 접근 경로의 차이로 인해 대피 가능 시간이 아파트 단지보다 상대적으로 길어, 30분 이내에 해당 주거지에서 대피가 필요하다. 이러한 차이는 주거지 유형과 위치적 특성에 따라 대피 계획 수립 시 별도의 접근 방식이 요구됨을 시사한다.
해당 침수분석에 대한 분석에 따라 침수피해는 공동주택 16개동 내 384세대(422명)가 피해가 예상되며, 단독주택 예상피해 대상은 14세대(27인)으로 나타났다. 피해인원 설정은 피해 대상 거주지(건물)의 세대수와 통계청에서 제공하는 경주시 ‘거처의 종류 및 가구원수별 가구 현황 데이터’를 토대로 공동주택은 1세대당 2.3인 기준, 단독주택은 1세대당 1.8인 기준으로 한 가구당 평균 거주인원을 곱하여 합산한 결과 472명(아파트 441명, 단독주택 31명(연립포함))으로 설정하였다. 주거지 분포위치와 침수위를 포함한 침수구역을 공간적으로 매칭한 결과 2 m를 넘지 않아 침수되는 공간은 1층만 해당된다. 시간경과에 따른 침수현황은 Fig. 3과 같으며, 침수에 따른 피해현황은 Table 2와 같다.
Table 2.
3.4 대피소 후보지 기준 및 지점 설정
유금저수지 하류부에 위치한 대피소 후보지는 저수지 붕괴 시 하류부 주민의 안전한 대피를 위해 대피 후보지를 선정할 때는 다양한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우선, 대피소는 주민들이 평소에 쉽게 인지할 수 있는 장소여야 하며, 대피 경로는 가파르지 않고 장애물이 없어야 한다. 특히 고령자, 장애인 등 취약계층의 접근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겠다. 저수지 붕괴로 인한 범람 예상 지역 및 침수 가능성이 높은 지역은 후보지에서 제외해야 하며, 지형적으로 안전한 장소를 중심으로 선정해야 한다.
또한 대피소 후보지 선정 시 사유지 여부도 중요한데, 공공 부지를 우선적으로 고려하되, 사유지를 활용해야 하는 경우에는 소유주와의 사전 협의와 법적 문제 해결이 필요하다. 이에 국유지 여부를 검토할 필요성이 있다. 대피소는 충분한 수용 능력을 갖추고, 기본적인 편의 시설을 제공할 수 있는 장소로 선정해야 하나, 여건이 갖추어지지 않으면 안전을 확보 할 수 있는 공간에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이를 위해 GIS 기반의 공간 네트워크 분석 및 침수 예측 시뮬레이션을 활용하여 대피 경로와 후보지를 분석하고, 위험 지역과 안전 지역을 명확히 구분해야 한다.
이를 통해 선정된 후보지는 Table 3과 같으며, 대피소 A (어린이집 주차장), B (마트 주차장), F (주차장) 그리고 E (주민센터, 2층)의 경우는 기존 시설을 활용하여 대피소 후보지를 설정하였으며, 대피소 C, D는 침수되지 않은 국유지 필지를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A와 B 지점의 경우 사용용도가 주차장이기에 장기적으로 주민을 포용하기 어렵기 때문에 10분내 이동하여 안전을 확보하고 지자체 지원을 통하여 많은 사람을 수용할 수 있는 위덕대학교로 이동하는 방안을 강구해야 하며, E 지점의 경우 마을회관 일부가 0.5 m 이하의 낮은 침수범위에 포함되어 2층으로 이동해야 한다.
Table 3.
대피소 후보지 설정을 위해 경사도 및 표고분석을 수행하였으며 분석결과를 살펴본 바, 5°이하의 완만한 지형을 형성하고 있으며, 최소 표고값 0.9 m 최고 표고값 180.1 m를 형성하고 있다.
대피소 후보지 선정 기준에 따라 6지점을 선정하였으며, 지형분석과 선정된 지점의 현황은 Fig. 4와 같다.
3.5 고령자 보행속도 기준 설정
보행자의 보행능력은 개인의 신체능력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겠으나 일반 성인의 경우 1초당 1.3~1.5 m의 보행능력을 갖는다고 한다. 고령자 보행속도 기준은 앞서 조사된 선행연구 내용을 참고하여 설정하도록 한다. 보행속도는 최소 41.8 m/min, 최대 73.8 m/min으로 범주 폭이 넓어 선행된 연구방법 중 실험 및 측정을 통한 보행속도 결과의 평균값을 반영하여 고령자 보행속도는 54.1 m/min로 설정하였다.
3.6 경사에 따른 보행속도 기준 설정
고령자 보행속도는 거리 및 속도계수를 적용한 표고차에 따른 계수법을 활용하였다. 각 보행구간별 경사에 따른 물리적인 요소(경사, 무게 등)를 반영 할 수 있겠으나 산출하는 과정의 복잡성과 소규모 지역의 대피장소 이동하는 과정을 고려할 때 설정방법으로 적합하지 못하다. 이에 소규모 지역에서의 근거리 이동 시 거리 및 속도계수를 사용함으로 공간 네트워크 분석결과의 일관성을 유지하고, 비상대처계획 및 대피소를 설정하는 분석업무과정을 간소화 할 수 있어 분석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Roh and Park (2018) 연구에 따르면, 경사각도 3°, 5°, 7° 및 9° 등의 보행환경에서 국내 평균 고령자 신체능력과 유사한 고령자의 보행 및 신체특성을 측정한 결과 7° 경사로 변화 시 가장 큰 동작 및 신체변수의 변화가 측정된다는 연구결과를 활용하여 5° 초과되는 지형에 반영하였다.
표고차에 따른 계수법의 거리 및 속도계수에 대한 설정은 Table 4와 같으며, 1 km 이내 표고차 100 m 이내인 완만한 지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거리계수는 1.1, 속도계수는 0.85를 반영하였다.
Table 4.
각 계수를 적용한 산식은 아래 Eq. (1)과 같다.
Tc : Walking travel time based on slope
Ds : Distance in spatial data
Cd : Distance coefficient
Sp : Walking speed of person
Cs : Speed coefficient
4. 분석결과
네트워크 분석은 현장 접근 도로 네트워크 데이터를 활용하여 최적 경로나 연결성을 분석함으로써 주거지 출입구 43개와 대피소 후보지 6개 간의 공간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총 258개의 O-D 행렬(Matrix) ID를 생성하였으며, 각 출입구에서 가장 가까운 대피소로 이동하는 경로를 기준으로 43개의 ID를 도출하고, 주거 형태 및 도달 시간별로 상세히 분석하였다.
각 43개 ID별로 대피 세대 수, 대피 인원 수, 목표 도달 시간, 그리고 가까운 3개의 대피소와의 이동 시간을 계산하였다. 최종 대피 지점 선정 과정에서는 목표 시간 준수 여부와 대피 이동의 일관성을 반영하였을 뿐만 아니라, 기존 시설의 활용성과 대피 주민의 인지 가능성 또한 고려하였다. 대피소는 주민들이 평소에 인지하고 접근하기 용이한 장소를 우선적으로 선정하였으며, 기존 시설을 활용함으로써 추가적인 인프라 구축 비용을 최소화하고 운영 효율성을 높였다(Table 5).
Table 5.
분석 결과, 43개 출입구 중 33개 출입구는 A 대피소(어린이집 주차장)로 이동하도록 설정되었으며, 해당 세대는 총 198세대, 인원은 452명이다. 나머지 10개 출입구는 E 대피소(마을회관)으로 이동하며, 해당 세대는 10세대, 인원은 20명이다(Table 6). 특히, A 대피소(어린이집 주차장)와 B 대피소(마트 주차장)는 지리적으로 가까운 위치에 있어, 상황에 따라 대피 안내 및 조정이 필요하다. E 대피소(마을회관)는 일부 낮은 침수 구역에 포함되므로 방수 페인트 도포와 차수막 설치와 같은 사전 조치가 요구되며, 해당 대피자들은 안전을 위해 2층으로 이동해야 한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대피소의 기능적 효율성과 대피자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주민들이 평소에 잘 인지하고 활용 가능한 기존 시설을 최대한 활용하는 방향으로 대피 계획을 수립해야 함을 보여준다. 이는 주민들의 신속하고 일관된 대피 행동을 유도할 뿐만 아니라, 재난 대응 체계의 실효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다.
Table 6.
5. 효율적 주민대피계획
본 연구에서는 중소규모 저수지의 비상상황 발생시 하류부 거주주민의 효율적인 대피를 위하여 대피대상에 따른 대피소요시간을 고려한 주민대피계획과 재해상황 따라 효율적인 주민대피계획을 다음과 같이 살펴볼 수 있겠다.
5.1 대피대상에 따른 주민대피계획
지역내 대피소의 경우 특정 대피소로 대피자들이 집중될 경우 수용인원의 한계로 인하여 주민들의 불편이 발생할 수 있으며, 대피 중 2차 피해발생의 우려가 있다. 따라서 대피대상을 분류함으로써 적절한 대피소 안내를 통해 2차 피해를 방지하고 효율적으로 대피소를 운영하여야 한다.
대피대상은 크게 일반 대피자와 재해약자로 분류하고 재해약자는 장애인, 노인, 아동 등으로 구분하였다. 재해약자의 경우 일반 대피자에 비해 상당한 대피시간을 필요로 하며, 대상에 따라서는 주변의 도움없이 단독대피가 어려운 경우가 많다. 이에 따라 재해영향지역의 대피자 수와 대피소의 수용인원을 고려하여 동일 지역에서 대피하는 대피자여도 재해약자의 경우 재해영향지역에서 가장 가까운 대피소로 우선 안내하며, 일반대피자의 경우에는 도달시간 및 침수시간, 대피시간 등을 반영하여 시간 내 대피가 가능한 범위 내에서 재해약자와 대피동선이 겹치지 않도록 효율적인 대피장소가 안내되어야 한다. 또한, 재해약자의 경우 필요시 해당 지역의 재난담당공무원 및 통·이장, 자원봉사자 등의 인력을 활용하여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야 한다.
5.2 상황에 따른 주민대피계획
재해상황 발생시 신속하고 효율적인 주민대피를 위해서는 재해상황에 따라 상황에 맞는 적절한 대피행동 판단기준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대피방법은 수평대피와 수직대피로 구분할 수 있으며, 하천 인근이나 재해영향지역의 고도가 예상 침수심보다 낮은 경우 수평대피를 통해 인근의 대피소나 주변의 높은 곳으로 대피해야 한다. 이는 일반적인 대피방법인 퇴거대피에 해당하며 주택 유실의 우려가 있어 현재 위치에서 머무르는 것이 위험한 경우 인명피해를 줄이는데 효과적인 대피방법이다.
반면에, 야간이나 혹은 계속되는 폭우로 인하여 대피소까지의 직접 이동이 어려운 경우나 침수 등으로 인한 외부 출입이 어려운 경우, 대피자가 현재 위치한 지점 및 건물의 높이가 예상 침수심보다 높은 경우 등 옥외로 나가는 것이 오히려 위험한 상황에서는 자택의 고층이나 인근 높은 건물로 대피하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특히 야간대피가 필요한 경우, 야간대피를 위한 자재(무전기, 반사조끼, 호루라기, 손전등 등) 및 안내판 등을 미리 준비하여 안전에 유의하여 대피할 수 있도록 지자체에서는 사전에 홍보하여야 한다. 또한 인명피해 우려지역은 일몰전에 대피할 수 있도록 하고 고령자의 경우 대피거부 등의 문제점을 사전에 파악하여 대피차량 확보 등을 위한 경찰 및 소방서의 협조도 중요하다. 상황에 따른 주민대피계획 개념은 Fig. 5와 같다.
다만, 본 연구의 공간적 범위인 유금저수지 하류지역의 경우 침수예상지역 인근에 별도로 지정된 수해 대피시설이 존재하지 않고, 일반적으로 대피소로 활용되는 학교, 노인정, 주민센터 등 공공시설 및 지진대피장소 등이 있으나, 침수영향범위 내에 있어 대피장소로 부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요 침수예상지역인 위덕삼성아파트의 옥상은 평지붕(Flat Roof)이 아닌 경사지붕(Sloped Roof) 형태 및 복도식 아파트로 수직대피에 있어 일부 대상의 적용 한계점 있다. 향후 추가적인 연구를 통하여 특정 상황에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시나리오를 구성하여 주민대피계획을 수립할 필요성이 있다.
5.3 대시민 교육 및 홍보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효율적인 주민대피계획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지자체 및 유관기관의 긴밀한 협조체계가 선제되어야 하며, 대상 지역의 주민을 대상으로 한 지속적인 홍보가 중요하다. 재해예방 및 대응 분야의 특성상 교육 및 홍보 대상에 있어서 특정 계층을 타겟으로 삼을 수 없고, 모든 연령 및 계층을 대상으로 효율적인 홍보가 필요함에 따라 전통적인 매체와 뉴미디어를 포함한 다양한 홍보매체의 활용이 필요하다. 일반 대피자에 해당하는 청소년, 청년, 중장년층의 경우 SNS 등을 활용한 홍보가 적합하며 재해약자의 경우 유치원 및 초등학교 등 아동 대상 재난 교육이나 노인정, 복지관과 같은 시설의 교육프로그램 구성을 통해 교육의 참여도를 높일 수 있도록 대상에 따른 효율적인 교육 및 홍보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6. 결 론
본 연구는 공간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대피 설정의 필요성과 적용 가능성을 바탕으로, 효율적인 주민대피계획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기존에 수립되던 대피 계획방법은 저수지의 구조적 안전과 물리적 대응에 초점을 두고 설계되었으나, 저수지 하류부에 위치한 주민 중심의 안전과 시간경과별로 침수 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유연성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했다는 한계를 지녔다. 이에 본 연구는 시간경과에 따른 주민 대피 상황을 반영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침수 지역이 주거 공간 및 대피 경로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대피 경로 설정 시 주변 지형지물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공간 네트워크 기반 접근법은 침수 예측 시뮬레이션과 정량적 데이터를 활용하여 위험 구역을 보다 세부적으로 정의하며, 보행 속도, 지형, 시간 경과에 따른 침수 범위 등의 요소를 통합적으로 반영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이고 상황에 적합한 대피 경로를 제공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대피대상과 상황에 따른 주민대피계획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여 주민 중심의 보다 효과적인 대피 방안을 마련하는 데 기여하며, 특히 취약계층을 포함한 모든 주민이 재난 상황에서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는 대피 계획이 단순히 물리적 대응에 국한되지 않고, 주민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하며, 정밀한 데이터 분석에 기반한 지능형 대피 전략으로 발전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이는 재난 발생 시 신속하고 효율적인 대응 체계를 구축하는 데 기여할 뿐만 아니라, 물리적·사회적 안전성을 모두 증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주민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한 대피 전략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재난 대응 체계의 실질적 개선을 위한 방향성을 제시할 필요성이 이으며, 다양한 재난 유형과 지역 특성을 반영한 실증적 사례 연구와 이를 바탕으로 한 정책적 적용 방안 개발이 필요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