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Article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30 June 2021. 443-452
https://doi.org/10.3741/JKWRA.2021.54.6.443

ABSTRACT


MAIN

  • 1. 서 론

  • 2. 연구 대상 저수지와 용수의 감량 공급 계획

  •   2.1 합천 다목적댐 저수지

  •   2.2 합천 다목적댐 저수지의 용수공급 계획

  •   2.3 가뭄 단계별 용수의 감량 공급 계획

  • 3. 용수공급을 위한 저수지 운영률

  •   3.1 용수공급 조정기준

  •   3.2 현 저수량 기준의 용수 감량 공급 기준 유도

  • 4. 저수지 모의 운영 프로그램과 기간

  •   4.1 저수지 모의 운영 프로그램

  •   4.2 저수지 모의 운영 기간

  • 5. 저수지 운영률을 적용한 용수공급 목적 저수지 모의 운영 결과

  •   5.1 저수량 변화 및 가뭄 단계 변화

  •   5.2 용수공급량 변화

  • 6. 결 론

1. 서 론

홍수로 인한 수해가 발생하면 가뭄으로 인한 고충을 잊기 쉽지만, 가뭄은 우리나라에서 10년에 1회 이상 발생하는 자연 현상이다. 예로서, 1977년에 완공된 안동댐 저수지 유역의 경우, 1982년, 1994 ~ 1995년, 2001년, 2008년, 2014 ~ 2016년 기간에 가뭄이 발생하였다. 가뭄이 발생하면 대규모의 용수를 공급하는 다목적댐조차 용수공급에 어려움을 겪는데, 2015년 11월부터 약 5개월간 안동 저수지의 생·공용수 공급량은 공급계획량 대비 약 7%인 1 m3/s이었다. 가뭄의 심도에 따라 용수공급량을 감축하는 저수지 운영 기법은 가뭄에 대응하여 물 공급의 안정성을 키우는데 필요한 저수지 운영의 연구 주제이다.

용수 감량 공급 기법(hedging rule)은 미래의 극심한 물 공급 부족을 피하고자 선제적으로 용수를 감량 공급함으로써 가뭄 기간에 상대적으로 많은 물을 확보하여 저수지를 운영하는 기법이다(Bayazit and Unal, 1990; Draper and Lund, 2004; You and Cai, 2008; Zhao et al., 2011). Shih and Revelle (1995)은 저수지의 가용수량을 2개의 구간으로 나누어 각 구간에 상응하는 감량된 양을 방류하는 이산화 용수 감량 공급 기법(discrete hedging rule)을 제시하였다. 위 논문에서 용수를 감량 공급하는 기준을 나타내는 용수 감량 공급 실행 가용수량(trigger volume)은 혼합정수계획법(mixed integer programing)으로 유도되었다. Tu et al. (2008)은 최적화 기법의 수식 내에 용수의 적정 감량 비율을 찾는 식을 포함하여, 용수의 감량 공급 실행 저수량과 감량 공급량을 결정하는 수학적 모형을 제시하였다. 여기서 용수 감량 공급 기준 곡선을 결정할 때 저수지의 저수량 구간을 3개로 나누었으며, 실제로 감량 공급하는 구간은 두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Jin and Lee (2019)는 가용수량 기준의 용수 감량 공급 기법과 현 저수량 기준의 용수 감량 공급 기법을 이용한 저수지 모의 운영 결과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가용수량 기준의 용수 감량 공급 기법이 신뢰도에서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반면, 현 저수량 기준의 용수 감량 공급 기법은 다음 기간의 예측 유입량이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감량 공급 실행 저수량이 비교적 크게 결정되고, 이로 인해 선제적으로 용수를 감량 공급할 수 있으므로, 위험 회피(hedging)에 대한 의미를 크게 가지는 것으로 평가하였다.

2014 ~ 2015년 기간에 우리나라에 발생한 심한 가뭄은 과학적인 용수 감량 공급 기법의 제도화를 촉진하게 되었다. 그에 따라, 한국수자원공사는 저수지 모의 운영 기법을 적용하여 ‘댐 용수부족 대비 용수공급 조정기준(이하 용수공급 조정기준)’을 개발 및 작성하여 전국 15개의 다목적댐 저수지의 운영에 사용하고 있다(K-water, 2018). 그리고 Jin et al. (2017)은 혼합 정수계획법의 최적화 기법을 적용한 합천 댐의 가뭄 대비 용수 감량 공급 기준(이하 용수 감량 공급 기준)을 개발하였다. K-water (2018)의 용수공급 조정기준과 Jin et al. (2017)의 용수 감량 공급 기준은 각각 저수지 모의 운영 기법과 최적화 기법으로 유도된 점에서 다르다. 두 기준은 우리나라의 네 개 가뭄 단계(관심, 주의, 경계, 심각)에 대하여 용수를 조정하여 공급한다는 점에서 같다. 그렇지만, 용수공급 조정기준은 가뭄 단계가 주의단계 이상으로 진입하면, 저수지의 저수량이 ‘정상 용수공급 환원 기준’ 저수량에 도달할 때까지 용수의 조정 공급을 지속한다는 특징이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위의 혼합 정수계획법과 모의운영 기법에 의한 다목적댐의 가뭄 대비 용수 감량 공급 기준들을 실제 가뭄 기간에 적용하여 각각의 장단점을 비교하는 것이다. 연구의 내용은 강수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낙동강 유역의 합천댐 저수지의 운영에 모의운영과 최적화 기법의 용수 감량 공급 기준들을 적용하고, 전체 모의 기간의 계획 대비 용수공급 부족 기간과 총 물 공급 부족량, 용수공급 불가 기간을 평가 및 비교하는 것이다.

2. 연구 대상 저수지와 용수의 감량 공급 계획

2.1 합천 다목적댐 저수지

낙동강 유역은 5대 강 유역 중에서 상대적으로 강수량이 작은 유역이다. 낙동강 유역에서 비교적 규모가 큰 다목적댐은 안동댐, 임하댐, 합천댐, 남강댐이 있다. 그런데 안동댐과 임하댐은 2017년에 연결 도수터널이 준공되어 각 저수지 용수공급의 독립성이 상실되었고, 남강댐 유역은 합천댐 유역보다 연 평균 강수량이 커 가뭄에 덜 취약하다. 위의 이유로 합천댐 저수지를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합천댐의 유역 면적은 925 km2이고(Fig. 1), 저수지의 연평균 유입량은 28.90 m3/s이다. 합천댐의 상시만수위 저수량은 724백만 m3이며, 저수위(低水位) 저수량은 152백만 m3이다(Table 1).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wra/2021-054-06/N0200540608/images/kwra_54_06_08_F1.jpg
Fig. 1.

The watershed map of Hapcheon dam

Table 1.

Project data from Hapcheon multi-purpose dam

Item Data
Watershed area (km2) 925
Average annual inflow (m3/s) 28.90
Average annual precipitation (mm) 1,249
Design flood water level (El. m) 179
Flood control storage (million m3) 80.0
Normal high water level (El. 176 m) storage (million m3) 724
Effective storage (million m3) 560
Low water level (El. 140 m) storage (million m3) 152

2.2 합천 다목적댐 저수지의 용수공급 계획

합천댐의 용수공급 계획은 연간 생·공용수 공급 계획량 520백만 m3, 관개 용수공급 계획량 32백만 m3, 하천 유지 용수 계획량 47백만 m3로서 총 연간 용수공급 계획량은 599백만 m3이다. 합천댐은 주로 생·공용수를 공급하고 있으며, 4월에서 10월에는 농업용수를 공급하고 있다. 합천댐의 월별 용수공급 계획량은 Fig. 2에 나타나 있다.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wra/2021-054-06/N0200540608/images/kwra_54_06_08_F2.jpg
Fig. 2.

Monthly water supply plan

2.3 가뭄 단계별 용수의 감량 공급 계획

2015년에 처음 작성되어 몇 차례 수정을 거친 가뭄 단계별 다목적댐 저수지 용수의 감량 공급 계획은 Table 2와 같다. 네 단계로 계획된 용수의 감량 공급을 모식도로 나타내면 Fig. 3와 같다. 그림에서 V1p는 관심단계의 용수 감량공급 실행 저수량이다. V2p는 주의단계의 용수 감량공급 실행 저수량이다. V3p는 경계단계의 용수 감량공급 실행 저수량이다. V4p는 심각단계의 용수 감량공급 실행 저수량이다. V5는 저수위(低水位)의 저수량이다. 종축의 Dp는 기간 p의 용수공급 계획량이고, α1pD~α4pD는 각각 관심단계부터 심각단계까지 기간 p에서 계획공급량에 1보다 작은 일정 비율, α1p~α4p를 곱하여 공급하는 용수량이다.

Table 2.

Water supply reductions to drought phases

Drought phases Water supply reductions
Concern Reduction of uncontracted municipal water = A
Caution A + 100% reduction of instream flow = B
Alert B + 20 ~ 30% reduction of agricultural water = C
(Apr. to Jun.: 20%; Jul. to Sep.: 30%)
Severe C + 20% reduction of municipal water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wra/2021-054-06/N0200540608/images/kwra_54_06_08_F3.jpg
Fig. 3.

Schematic diagram of four-phase discrete hedging rule depending on storage (Jin et al., 2017)

3. 용수공급을 위한 저수지 운영률

3.1 용수공급 조정기준

한국수자원공사는 가뭄 시 저수지 용수의 안정적 공급을 위하여 2015년에 ‘용수공급 조정기준’을 개발하였다(K-water, 2018). 용수공급 조정기준은 가뭄 단계를 네 단계(관심, 주의, 경계, 심각)로 구분하여 다목적댐 및 용수공급 전용 댐을 대상으로 순(旬) 단위의 용수 감량 공급 실행 저수량과 각 가뭄 단계에 상응하는 용수공급 감축량을 명시하고 있는(Table 2) 가뭄 대응 저수지 운영 기준이다. ‘용수공급 조정기준’의 가뭄 단계별 감량공급 실행 저수량에 대한 산정 방법은 Lee (2018)에 상술되어 있으며, 여기서는 용수공급 조정기준’의 한계에 관하여 기술하고자 한다.

용수공급 조정기준의 감량공급 실행 저수량은 각 가뭄 단계에 상응하는 용수공급량에 대하여 어느 해의 특정한 순에 정상적인 용수공급이 가능한 확률이 95%인 각 단계의 상한 저수량이다. 다시 말하면, 순마다 장기간에 대하여 5%의 용수공급의 부족을 전제로 한 기준이다. 이 내용을 Lee (2018)의 문헌은 “이수안전도 95%를 반영하여 475년은 다음 년 1월 10일에 저수위(低水位)까지 떨어지지 않고 운영 가능한 결과가 도출될 수 있는 당해년 1월 10일 시점의 최저저수량”으로 표현하고 있다. 그리고 위 감량공급 실행 저수량은, 연속한 500년의 저수지 유입량 모의 자료를 1년 단위로 쪼개어, 각 1년 기간의 입력 자료를 독립 적용한 저수지 모의 운영을 500회 수행하여 결정한 값이다. 그런데 저수지를 이용한 물 공급에서 직전 기간의 저수량은 다음 기간의 물 공급에 영향을 준다. 위와 같이 1년으로 분할된 저수지 유입량을 독립적으로 사용하여 저수지 모의 운영을 수행하면 매 1년 기간 말의 저수량이 다음 해 기간 초의 물 공급에 전달되지 못하게 된다. 그러면 2년 이상 연속적으로 가뭄이 발생하는 기간에 용수공급 조정기준을 적용하면 용수공급 부족의 기간 또는 양이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

용수공급 조정기준에서 관심단계 저수량보다 큰, 정상 용수공급 환원 기준 저수량을 둔 것은 다음과 같은 상황을 낳을 수 있다. 만일 가뭄 단계가 심각단계를 넘어서 용수공급 불가 상태가 되면, 저수지의 상태가 정상 용수공급 환원 기준 저수량에 도달할 때까지 오랜 기간 동안 용수공급을 중단하게 된다. 위와 같은 특성 아래 유도된 용수공급 조정기준을 네 단계별 36개 순의 곡선으로 나타내면 Fig. 4와 같다.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wra/2021-054-06/N0200540608/images/kwra_54_06_08_F4.jpg
Fig. 4.

The operational guides for water supply adjustment

3.2 현 저수량 기준의 용수 감량 공급 기준 유도

Jin et al. (2017)은 합천댐 저수지에 대하여 월 단위로 네 가뭄 단계의 용수 감량 공급 실행 저수량 48개를 유도하였으나, 현 연구를 통하여 3.1 절의 순 단위 용수공급 조정기준과 비교하기 위하여 순 단위의 용수 감량 공급 실행 저수량을 유도하였다. 네 단계의 이산화 용수 감량공급 기법에 대한 최적화 기법 수식의 목적함수는 Eq. (1)이다. 이와 동반되는 25종의 제약조건 중 8개 식은 Eqs. (2) ~ (9)과 같으며, 나머지 제약조건식은 Jin et al. (2017)의 문헌을 참조할 수 있고 지면의 제한으로 생략하였다.

(1)
Maximizet=1Ty1t-ωp=136V1p+V2p+V3p+V4p+V5
(2)
y1tSt-1-V1p-εMt,p
(3)
y1t1-V1p-St-1Mt,p
(4)
Rt=1.0-α1p×Dp×y1t+α1p-α2p×Dp×y2t+α2p-α3p×Dp×y3t+α3p-α4p×Dp×y4t+α4p×Dpt
(5)
St=St-1+It-Rt-Wtt
(6)
StCt
(7)
UtSt/Ct
(8)
WtM×Utt
(9)
t=1Ty4t=T-nt

Eq. (1)에서 t는 순(旬) 단위의 시간을 나타내는 변수이며, T는 저수지 운영 기간의 마지막 순이다. 변수 p는 1년 기간에서 특정한 순이며 V1pV2p, V3p, V4pp 순의 네 단계별 감량 공급 실행 저수량으로서, 가용수량이 아닌 현 저수량이며 Fig. 3의 횡축에 나타낸 변수들과 같다. V5는 모든 순에서 같은 값인 저수위(低水位) 저수량이다. Eqs. (2) and (3)는 논리 변수인 y1t가 ‘1’ 또는 ‘0’의 값을 가지게 하는 제약조건이다. 여기서, St ‒ 1은 (t ‒ 1) 기간 말의 저수량이며, My1t의 값이 ‘0’ 또는 ‘1’이 되도록 하는 입력값으로서 대상 저수지의 저수량(貯水量)보다 큰 값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직전 기간 말(=현 기간 초)의 저수지 저수량, St ‒ 1이 1 단계(관심단계) 용수 감량 공급 실행 저수량, V1p보다 더 크거나 같으면 ‘1’이 되어 용수공급량이 기본계획 공급량과 같게 되고, 저수량이 1단계 용수 감량 공급 실행 저수량보다 작으면 ‘0’이 된다. y1t의 합을 크게 하면 용수공급 계획량을 만족시키는 순의 횟수가 커짐을 의미한다. V1p부터 V5의 합 앞에 음수 부호(-)가 있으므로 목적함수를 최대화하려면 V1p부터 V5의 합이 작을수록 좋다. 이는 감량 공급 실행 저수량들을(V1p, ⋯, V5) 되도록 작게 하여 용수공급 부족이 덜 일어나도록 함을 의미한다. ω는 가중값이다.

Eq. (4)에서 Rt는 기간 t에서 저수지의 용수공급량을 나타낸다. 여기서, y2ty3t, y4ty1t와 같이 ‘1’ 또는 ‘0’을 가지는 논리 변수이고, 각각 주의, 경계, 심각단계의 감량 공급 실행 저수량에 관련된 변수이며 이와 관련된 제약조건 쌍들은 생략되었다. Dpp 기간의 기본계획공급량이다. 우리나라의 경우에 시기에 따라 농업용수의 공급량이 다르다. 이를 고려하기 위하여 단계별로 기간별 감량 비율을 α1p,α2p,α3p,α4p와 같이 적용하였다.

Eq. (5)는 저수지의 연속방정식이다. 여기서 It는 유입량, Wt는 여수로 방류량, Rt는 용수공급량이다. Eq. (6)t 기간 말(末)에서 저수량(St)가 이수 공간의 상한 저수량인 상시만수위 저수량(C)보다 작거나 같게 하는 제약조건이다. Eq. (7)은 여수로 방류 여부를 나타내는 제약조건으로서, C는 상시만수위 저수량이고 Ut는 값이 ‘0’ 또는 ‘1’인 정수형 변수이다. 만일, Ut의 값이 1이면 기간 t에서 여수로 방류가 일어난다. 부연 설명하면, Eq. (5)의 우변에서 (St ‒ 1 + It ‒ Rt)의 값이 상시만수위 저수량 C보다 크면, Eq. (5)의 좌변 StC와 같아지도록 여수로 방류량 Wt가 결정되며, Eq. (7)Ut는 1이 된다. 여수로 방류량 Wt는 부등식 조건인 Eq. (8)에 제약된다. Eq. (9)는 저수지의 총 운영 기간 T에서 심각단계의 운영 기간(n)을 뺀 값이 경계단계의 용수공급량 이상을 공급한 기간의 합과 같아야 함을 나타내는 제약조건식이다. 여기서 심각단계의 운영 기간(n)은 입력 자료이다.

용수 감량 공급 기준곡선을 구하기 위한 목적함수와 제약조건은 모두 선형이고 1과 0의 값을 가지는 변수들이 있으므로, 해를 혼합정수 계획법으로 구하였다. 유도 기간은 Fig. 5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장기적으로 기록 유입량과 용수공급량이 적은 1993년부터 1998년까지의 기간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수학적 모형에 입력되는 저수량의 초기 조건이 최적해에 미치는 영향을 적게 하려고 가뭄 기간 전·후로 홍수가 포함되는 기간을 선정하였다.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wra/2021-054-06/N0200540608/images/kwra_54_06_08_F5.jpg
Fig. 5.

The hydrologic and operation records of Hapcheon dam reservoir

해를 구하는 과정에서 겪은 어려움은 계산 시간의 문제였다. 위의 문제에서 결정해야 하는 미지수는 매우 많으며, 감량공급 실행 저수량들인 36개 순별 V1pV2p, V3p, V4p, 자료기간(6년)의 순단위 변수로서 감량 단계와 관련된 y1ty2t, y3t, y4t, 용수공급량 Rt, 여수로 방류량 Wt, 저수량 St이다. 심각단계 기간인 n을 입력하여 미지수들을 구하는 시간은 중앙 처리장치의 연산 속도 3.6 GHz로써 약 3분 내지 하루가 걸렸다. n 값이 너무 작은 경우, 즉, 모의 기간에 대하여 가뭄 시 저수지 운영에 필요한 최소 심각단계 기간보다 n이 작을 때 해를 구하지 못하는 일도 있었다.

결정된 합천댐의 순 단위 용수 감량 공급 기준곡선을 Fig. 6에 제시하였으며,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관심 및 주의단계의 용수 감량 공급 실행 저수량이 7 ~ 8월에 큰 값을 가지며, 9월부터 연말까지 감소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다. 7월부터 9월 중순까지 홍수기임에도 불구하고 관심 및 주의단계의 용수 감량 공급 실행 저수량이 큰 것은, 여름 가뭄으로 인하여 홍수기의 저수량이 적으면 오히려 7 ~ 9월 기간에 물을 아껴야 향후의 용수공급이 상대적으로 안정됨을 의미한다. 이 결과는 1994년과 1995년에 가뭄이 들어 홍수기의 저수지 유입량이 적은 상태에서, 용수공급 부족을 최대한 적게 하려는 최적화 목적을 추구하면서 도출된 것이다.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wra/2021-054-06/N0200540608/images/kwra_54_06_08_F6.jpg
Fig. 6.

Discrete hedging rule curves

4. 저수지 모의 운영 프로그램과 기간

4.1 저수지 모의 운영 프로그램

용수공급 목적의 저수지 모의 운영에 필요한 자료는 상시 만수위 저수량 등의 제원 자료, 저수량의 초기 조건과 모의 기간 등의 운영 조건 자료, 일(日) 단위 유입량 자료, 기간별 용수공급 계획량 자료, 용수 감량 공급 기준 등의 운영률(運營律; operating rule) 자료 등이다. 가뭄의 단계에 따라 용수공급량을 결정하면 저수지 물의 질량 보존식에 따라 다음 기간의 저수량이 산정된다. 저수지 모의 운영의 시간 단위는 일(日)로 하였다. 저수지 모의 운영의 결과로서 용수공급량, 가뭄 단계, 저수량이 도출된다.

저수지 모의 운영 컴퓨터 프로그램은 GoldSim으로 작성되었다. GoldSim은 시간에 따라 상태가 변하는 모의(simulation)를 수행하기 위한 객체 지향 컴퓨터 프로그램이다(GoldSim Technology Group, 2014). GoldSim은 수치 자료와 수식을 가시적으로 다룰 수 있는, 일종의 가시화 표계산 도구(spreadsheet)이다.

4.2 저수지 모의 운영 기간

저수지 모의 운영에서 저수량이 상시만수위 저수량을 초과하면 여수로 방류가 수행되도록 하였고, 그 방류량은 여수로의 능력에 제약되도록 하였다. 그렇지만 실제 저수지 운영 시 홍수로 인한 위험이 없다면, 저수위가 상시만수위를 초과한 상태에서 저류된 물을 여수로 방류가 아닌 발전 및 용수공급으로 방류할 수 있으므로 가급적 여수로 방류가 없었던 기간을 저수지 모의 운영 기간으로 하였다. 합천댐의 여수로 방류는 준공 이후에 2000년, 2002년, 2019년, 2020년에 기록되었다. 이에 따라 2003 ~ 2018년 기간을 저수지 모의 운영 기간으로 하였다. 위 기간 중 2009년과 2015년부터 2018년 사이에 가뭄이 발생하였다.

5. 저수지 운영률을 적용한 용수공급 목적 저수지 모의 운영 결과

5.1 저수량 변화 및 가뭄 단계 변화

합천 저수지의 용수공급 계획(2.2절)과 가뭄 단계별 용수 감량 공급 기준 및 용수공급 조정기준(2.3절)에 따라 저수지 모의 운영한 결과를 Fig. 7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두 공급 기준을 따른 저수량은 모두 7억2천4백만 m3의 상시만수위 저수량과 1억5천2백만 m3의 저수위(低水位) 저수량 사이에서 변동하고 있다. 가뭄에 대비하여 선제적으로 용수를 감축 공급하는 용수 감량 공급 기준 결과의 용수공급 부족 기간은 16년 중 27.6%로서(Table 3) 용수공급 조정기준의 결과인 22.8% 보다 크지만, 총 용수공급 부족량은 반대로 10.2억 m3로 용수공급 조정기준의 결과 보다 약 3% 작다.

용수 감량 공급 기준 결과의 용수공급 부족 기간이 상대적으로 긴 것은, 미래의 극심한 물 공급 부족을 피하고자 선제적으로 용수를 감량 공급하는 ‘위험 회피 운영률’의 특성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 대신에 심각단계의 용수 감량 공급 기간이 상대적으로 줄어든 결과를 후술하였다.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wra/2021-054-06/N0200540608/images/kwra_54_06_08_F7.jpg
Fig. 7.

Storage variations by the reservoir simulations

Table 3.

Water supply deficit overall

Evaluation measure Discrete hedging rule Water supply adjustment guide
Periodic proportion of water supply deficit (%) 27.6 22.8
Total amount of water supply deficit (million m3) 1,017 1,046

두 공급 기준을 적용한 결과에서 서로 다른 점을 가뭄 단계 변화에서 보다 자세히 살펴볼 수 있다(Fig. 8). 여름 강수량이 적었던(Fig. 5) 2008년과 2015년 하반기에 용수 감량 공급 기준을 적용한 결과는 가뭄 단계가 보다 빨리 관심단계로 진입하였다. 그리고 강수량이 적었던 2013년의 여파로 2014년에 용수 감량 공급 기준을 적용한 결과가 관심 및 주의단계로 진입하였음을 볼 수 있다. 위의 결과 차이는 관심 및 주의단계의 감량 공급 실행 저수량에서, 용수 감량 공급 기준의 각 기간 값이 용수공급 조정기준의 값보다 크기 때문에 발생하였다(Fig. 9). 예를 들어 2014년 7월 3일의 모의 저수량은 3억3천4백만 m3로서, 용수공급 조정기준을 따르면 정상공급 기간이지만, 용수 감량 공급 기준을 따르면 관심단계의 감량 공급을 실행하여야 하는 저수량이다(Fig. 9). 용수 감량 공급 기준을 적용한 결과가 2014년과 2015년에 보다 빨리 관심단계로 진입한 영향은 해당 기간 저수량의 차이 및 확장으로 나타났다(Fig. 10). 부연하여 다음 내용을 언급하고자 한다. 용수 감량 공급 기준의 유도 과정에서 가뭄 단계 구분의 제약조건에 사용한 저수량은 현 저수량 St ‒ 1이었다(Eqs. (2) and (3)). 현 저수량 대신에 가용 수량(St ‒ 1 + It)를 사용하면 용수 감량 공급 실행 저수량이 현 저수량의 결과보다 대체로 작아짐을 Jin and Lee (2019)의 문헌에서 확인할 수 있다.

용수 감량 공급 기준의 선제 감량 공급 기능과 향후의 극심한 용수공급 부족의 완화 결과를 2008년 말부터 이듬해 봄 사이의 가뭄단계 결과로부터 확인할 수 있다. Fig. 8에서 용수 감량 공급 기준의 적용 결과는 2008년 11월 11일부터 12월 17일까지 37일간 관심단계로 용수를 선제 감량 공급하였다. 다음으로, 두 방법의 결과 모두 용수공급 불가 상태로 진입하는 이듬해 5월 5일 전날까지, 용수공급 조정기준의 결과는 2009년 2월 2일부터 71일 중 심각단계가 65일, 용수공급 불가 기간이 6일이었지만, 용수 감량 공급 기준의 결과는 경계단계 기간이 18일, 심각단계 기간이 53일이었다. 즉, 용수 감량 공급 기준을 적용하여 2008년 말에 용수 선제 감량 공급으로 아낀 물을 가지고 2009년 봄에 용수공급 부족을 완화할 수 있었다. 2009년과 2017 ~ 2018년 기간에 가뭄의 심각단계를 넘어 용수공급 불가 상태가 지속된 기간이 나타났다(Fig. 8). 이에 관하여 다음 절에서 설명하고자 한다.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wra/2021-054-06/N0200540608/images/kwra_54_06_08_F8.jpg
Fig. 8.

Drought phase variations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wra/2021-054-06/N0200540608/images/kwra_54_06_08_F9.jpg
Fig. 9.

Concern phase trigger storages for rationing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wra/2021-054-06/N0200540608/images/kwra_54_06_08_F10.jpg
Fig. 10.

Storage variations from 2014 to 2015

5.2 용수공급량 변화

용수공급 조정기준을 적용한 저수지 모의 운영 결과를 보면(Fig. 11), 저수량이 저(低)수위에 이른 2009년 5월부터 7월 중순까지 약 2.5개월 동안 용수가 공급되지 않았다. 같은 기간에 용수 감량 공급 기준의 결과는 용수공급 불가 기간과 심각단계, 경계단계, 주의단계를 오가면서 용수를 공급하고 있다. 더욱이, 용수공급 조정기준의 결과는 2017년 7월 말부터 이듬해 1월 중순까지 5개월 20일간 용수가 전혀 공급되지 않았다(Fig. 12). 동일 기간에 용수 감량 공급 기준의 결과는 용수공급 불가 기간과 심각단계, 경계단계를 오가면서 간헐적으로 용수가 공급되었다.

용수공급 불가 기간의 지속과 간헐적 용수공급으로 요약할 수 있는 위 저수지 모의 운영 결과의 차이는 용수공급 조정기준에 적용하고 있는 ‘정상 용수공급 환원 기준 저수량’ 때문에 발생한다. 용수공급 조정기준을 적용하면 가뭄의 어느 한 단계로 진입한 상태에서 저수량이 정상 용수공급 환원 기준 저수량 이상으로 커지지 않는 한 해당 가뭄 단계의 용수 감축 공급을 지속한다. 모의 기간을 특정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2017년 3월 12일부터 7월 24일 기간에 가뭄 단계가 관심, 주의, 경계, 심각 단계를 순차적으로 거쳐 용수공급 불가 상태에 이르면, 7월 25일부터 저수량이 정상 용수공급 환원 기준 저수량 보다 커지는 2018년 1월 15일 전날까지 용수공급이 완전히 중단되었다가, 15일부터 정상 단계로 용수가 공급되었다. 이에 따라 2017년 7월 말부터 2018년 1월 중순까지 저수지에 물이 유입되었지만, 용수는 공급되지 않았으므로 용수공급 조정기준의 결과 저수량이 증가하였다(Fig. 13).

위와 같은 약 6개월간 용수공급 전면 중단이란 분석상 결과에 대하여, 두 가지의 현실 상황을 가정할 수 있다. 첫째로, 저수지의 물 공급이 없어도 댐 하류 유역의 유출이 상대적으로 크게 발생한다면 하류 지점의 취수에 심각한 장애가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둘째로, 계획을 위한 분석 결과가 위와 같을지라도 ‘댐과 보 등의 연계운영 협의회’와 같은 의사결정 기구를 거쳐 제한된 용수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렇지만 어느 경우라도 생활 및 공업용수가 공급되지 않으면 용수 대금의 지불과 상충하므로 수요자와 공급자 간에 분쟁이 발생할 수 있다.

용수의 조정 또는 감량 공급과 연관된 용수 대금의 문제는 여기서 다루지 못하였다. 그렇지만 저수지의 유입량에 따라 저수량이 증가하는 상태에서 물 공급이 몇 개월간 중단되면 분명 물 사용자와 공급자 간에 분쟁이 발생할 수 있다.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wra/2021-054-06/N0200540608/images/kwra_54_06_08_F11.jpg
Fig. 11.

Water supply amounts from 2008 to 2010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wra/2021-054-06/N0200540608/images/kwra_54_06_08_F12.jpg
Fig. 12.

Water supply amounts from 2015 to 2018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wra/2021-054-06/N0200540608/images/kwra_54_06_08_F13.jpg
Fig. 13.

Effect of the storage guide returning to normal water supply

6. 결 론

혼합정수 계획의 최적화 기법으로 유도된 ‘용수 감량 공급 기준’은 선제적으로 용수를 감량 공급함으로써 가뭄 기간에 상대적으로 많은 물을 확보하여 저수지를 운영하는 기법이다. 모의 운영 기법으로 유도된 ‘용수공급 조정기준’은 가뭄 시 용수를 조정하여 공급하는 저수지 운영 기법으로서 우리나라의 다목적 저수지 운영에 적용하고 있는 현행 기법이다. 2003 ~ 2018년 기간의 저수지 유입량을 입력 자료로 하여, 합천 다목적댐 저수지의 모의 운영에 두 방법을 적용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두 방법의 결과 모두 2015년부터 2018년까지 지속된 가뭄에 장기간 물 공급의 부족이 발생하였다. 특히 2017년 하반기에 물을 전혀 공급하지 않거나 간헐적으로 공급하는 기간이 지속적으로 나타났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서, 현재 실제로 적용하고 있는 가뭄 단계별 물의 공급 축소량을 더욱 증가시키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용수공급 조정기준은 ‘정상 용수공급 환원 기준 저수량’을 둠으로써, 2017년 7월에 용수공급 불가 상태에 이른 다음, 저수량이 정상 용수공급 환원 기준 저수량 보다 커지는 2018년 1월까지 용수공급이 중단되는 결과를 낳았다. 그런데 저수지의 유입량에 따라 저수량이 증가한 상태에서 물 공급이 중단된 결과는 개선이 필요한 문제임이 분명하다.

2015년까지 약 4년간 지속된 합천댐 유역의 가뭄 상황에서 어느 해 말(末)의 저수량 상태는 다음 해의 초기 저수량으로 전달되어 저수량 변동에 영향을 준다. 용수공급 조정기준은 500년의 저수지 모의 유입량 자료를 1년 단위로 나누어 독립적으로 저수지 모의 운영을 500회 수행하여 결정되었으므로, 다년간의 연속 가뭄에서 어느 해와 다음 해 사이의 저수량 전달 상태를 명시적으로 다루고 있지 않다. 그러므로 유입량 자료를 연속적으로 적용한 저수지 모의 운영을 통하여 용수공급 조정기준을 유도하고 평가할 필요가 있다.

혼합정수 계획의 최적화 기법을 적용한 용수 감량 공급 기준 유도의 단점은 결정 변수의 개수가 많아서 생기는 계산 시간 과다의 문제이다. 그리고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특정 입력 자료의 값에 따라 해가 도출되지 못하는 때도 있다. 그에 비하여 저수지 모의 운영 기법으로 어떤 결과를 얻고자 할 때, 결과가 좋고 나쁨과 상관없이 도출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현행 용수공급 조정기준과 용수 감량 공급 기준 모두 가뭄 단계별 용수의 감축 공급이란 선언적, 규정적 문장을 과학적 수치로 나타낸 저수지 운영 기법으로서 유용하고 현실적이다. 그렇지만 위와 같이 몇 개월간 물을 전혀 공급하지 못하거나 간헐적으로 공급하는 저수지 모의 운영 결과를 개선하기 위하여, 현재 적용 중인 가뭄 단계별 물의 공급 축소량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음을 재차 언급한다.

Acknowledgements

이 논문은 부경대학교 자율창의학술연구비(2019년)에 의하여 연구되었습니다.

References

1
Bayazit, M., and Unal, N.E. (1990). "Effects of hedging on reservoir performance."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26, No. 4, pp. 713-719. 10.1029/WR026i004p00713
2
Draper, A.J., and Lund, J.R. (2004). "Optimal hedging and carryover storage value." Jornal of Water Resources and Management, Vol. 130, No. 1, pp. 83-87. 10.1061/(ASCE)0733-9496(2004)130:1(83)
3
GoldSim Technology Group (2014). User's guide GoldSim probabilistic simulation environment. GoldSim Technology Group LLC, Issaquah, WA, U.S.
4
Jin, Y., and Lee, S. (2019). "Comparative effectiveness of reservoir operation applying hedging rules based on available water and beginning storage to cope with droughts." Water Resources Management, Vol. 33, pp. 1897-1911. 10.1007/s11269-019-02220-z
5
Jin, Y., Lee, S., and Jung., T. (2017). "Reservoir operations applying discrete hedging rule curves depending on current storage to cope with drough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17, No. 1, pp. 107-115. 10.9798/KOSHAM.2017.17.1.107
6
K-water (2018). The working manual of reservoir operations. pp. IV-537-IV-582.
7
Lee, D. (2018). Water supply adjustment guideline for single-purpose dam against drought. Master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8
Shih, J.S., and Revelle, C.S. (1995). "Water supply operations during drought: A discrete hedging rule." Journal of Water Resources Planning and Management, ASCE, Vol. 82, pp. 163-175. 10.1016/0377-2217(93)E0237-R
9
Tu, M.T., Hsu, N.S., Tsai, F.T.C., and Yeh W.W.G. (2008). "Optimization of hedging rules for reservoir operations." Journal of Water Resources Planning and Management, ASCE, Vol. 134, No. 1, pp. 3-13. 10.1061/(ASCE)0733-9496(2008)134:1(3)
10
You, J.Y., and Cai, X.M. (2008). "Hedging rule for reservoir operations: 1. a theoretical analysis."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44, No. 1, W01416. 10.1029/2006WR005481
11
Zhao, J.S., Cai, X.M., and Wang, Z. (2011). "Optimality conditions for a two-stage reservoir operation problem."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47, No. 8, W08503. 10.1029/2010WR009971
페이지 상단으로 이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