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Article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31 October 2019. 791-799
https://doi.org/10.3741/JKWRA.2019.52.S-2.791

ABSTRACT


MAIN

  • 1. 서 론

  • 2. 연구범위 및 방법

  •   2.1 연구범위

  •   2.2 분석자료

  •   2.3 서식처 구조 구분

  • 3. 결 과

  •   3.1 만경강의 지형 변화

  •   3.2 하도서식처 변화

  • 4. 고 찰

  • 5. 결 론

1. 서 론

생물은 생애주기나 생활사에 따라 필요로 하는 서식처의 유형이 다르다. 대부분의 수서곤충은 산란을 위하여 본류의 여울이나 자갈사주를 이용하고, 잠자리류와 같이 수역이 정체된 곳에서 생활하는 곤충의 유충이나 조개류는 주로 식생에 둘러싸인 습지나 웅덩이에서 발견된다. 또한, 동일 어류라고 할지라도 생애주기에 따라서, 소에서 먹이를 먹고, 휴식이나 치어기 때는 backwater(사주의 상·하류에 본류와 연계되는 웅덩이)에서 생활하며(Scott and Nielsen, 1989), 산란은 여울에서 하기도 한다(Gordon et al., 2004). 이렇게 하천에서의 서식처 다양성은 생물다양성과 직접적이고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서식처는 하천복원사업에서는 조성 대상이 되며 하천평가에서는 평가 항목으로 사용된다.

국내에서 1994년 양재천 자연형 하천복업사업을 시작으로, 전주천, 안양천, 오산천, 경안천, 청계천 등 전국적으로 하천복원사업이 실시되었다(Lee et al., 2012). 하천복원사업에서는 생물다양성 증진을 위하여 고수부지 친수 공간 조성, 사주, 여울과 소(riffle & pool), 습지와 같은 하도내 서식처 조성, 식생호안 정비 및 고수부지 식재와 같이 다양한 서식처를 조성하였다(ME, 2016a). 한편, 하천의 자연성 및 건강성 지표를 산정하는 하천건강성평가 항목의 하나인 서식 및 수변환경 평가에서는 종횡사주, 하도 특성의 자연성, 유속 다양성 등을 이용한 지수를 산정하여 하천의 건강성을 평가하고 있다(ME, 2016b).

서식처 구조와 같은 하천 지형은 직강화, 준설, 제방설치, 댐이나 보 건설 등 다양한 인공적인 영향에 의하여 변화한다. 댐이나 보와 같은 인공구조물에 의한 유량 변화는 범람을 방지하고 용수공급 및 전력 생산 등 다양한 인간 활동에 기여하는데 반해, 구조물 하류 생태계는 교란의 크기와 빈도가 감소하여 사주 지형의 감소, 여울과 소의 소실, 홍수터의 육역화와 같은 서식처의 질적·양적인 저하를 야기한다. 그래서 지속가능한 생태적인 하천관리 실현을 위하여 종래와 같은 하천복원사업을 통한 인공적인 서식처 조성이 아닌, 환경유량이나 환경유사량 산정을 통한 유역차원의 하천관리가 필요하다(Takemon, 2010). 해당 하천이 가지는 잠재적인 지형적 수리적 특성을 토대로, 평면 형상 및 서식처 구조를 분석하고, 복원목표를 설정하여 목표를 실현할 수 있는 사업(유량이나 유사량 증가나 하폭 변화 등)으로의 전환을 통해 자연스럽고 지속가능한 하천생태계 보전 및 관리가 가능하다. 서식처 구조는 생물다양성과 상관성이 높은 동시에, 항공사진과 현장사진을 이용하여 관찰이 가능하고, 생물조사가 어려운 과거의 하천 환경을 유추하여 하천의 변화 양상 및 잠재적인 하천 특성을 파악하는데 용이하다. 초기 하도내 서식처의 구분은 주로 여울-웅덩이(riffle-pool), 평여울(run) 등 육안으로 구별 가능한 서식처 위주였으나(Jowett, 1993), 이후 하천 본류내 (사주 포함) 서식처를 수심이나 유속과 같은 수리적 특성이나 영상자료, 범람유형에 따라 분류하였다. Shoffner and Royall (2008)Newson and Newson (2000)은 surface flow를 이용하여 서식처의 유형을 분류하였고(backwater, pool, glide, chute, run, riffle 등), Hohensinner et al. (2011)은 영상자료를 이용해서 본류와의 연결 유무, 유량별 범람유형 등(side arms, backwaters, isolated water bodies 등)으로 서식처를 분류하여 시간에 따른 다뉴브 하천의 서식처 순환 과정을 설명하였다. Choi et al. (2018)은 항공사진을 이용하여 중규모 단위인 하천 평면 지형 (직렬하도, 병렬하도 등)을 분류하고, 서식처 다양성(riffle, pool, tail wando, head wando, active pond, terrace pond 등)을 기준으로 지형을 평가하여, 잠재적으로 생물다양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지형 목표상을 설정하고, 시간에 따른 지형 변화를 토대로 생물다양성 향상을 위하여 필요한 유사량을 제안하였다. 항공사진을 이용한 서식처 구조의 분류는 촬영시기 및 수문학적 조건에 따라 면적이 변동될 가능성이 있으며, 항공사진을 통하여 확인 되는 영역을 기준으로 면적을 산출하기 때문에 실제 면적과의 차이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실제와 비교하여 정확도를 산정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 하지만 축척된 자료를 활용하여 하천변화를 평가하는데 용이하여 하천의 지형 변화를 분석하는데 다양하게 활용하고 있다(Hong et al., 2012).

본 연구에서는 보가 다수 건설되어 있는 만경강을 대상으로 항공사진을 이용하여 서식처 구조를 분류하고, 보로 인한 서식처 구조 변화를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잠재적인 만경강의 하천 환경을 고찰하고 하천관리 방향을 제안하였다.

2. 연구범위 및 방법

2.1 연구범위

만경강은 전라북도 완주군 동상면 원등산에서 발원하여 고산천, 소양천, 전주천과 합류한 뒤 만경평야를 관류하여 서해로 유입되는 유역면적 1,527.1 km2, 유로연장 77.4 km 하천이다(MOLIT, 2012). 과거 만경강은 감조하천이며 구간이 긴 자유곡류하천으로 밀물때에는 만경강 하구에서 상류쪽으로 조수가 거슬러 올라와 현재의 삼례교 주변까지 조수의 영향을 받았으나, 1920년대 이후부터 도수로 정비 및 직강화 등의 사업이 진행되었으며 70년 이후 농경지에 농업용수를 공급하기 위하여 만경강 본류에 만경제수문을 설치하여 조수의 영향을 막고 농업용수원으로 이용하고 있다(Cho, 2007). 만경강 유역의 연평균 강우량은 1,251.4 mm이며, 유역의 평균경사는 17.5%로 매우 완만하고 하천에 인접하여 농경지가 발달해 있으며, 만경강의 중류부, 전주천의 중류부 및 상류부는 하천연변을 따라 도시 및 주거지가 밀집되어 있다. 하상은 만경강 본류의 전주천 합류점 하류구간은 실트 및 점토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상류 구간은 모래 및 자갈로 구성되어 있다(MOLIT, 2012).

본 연구의 대상 구간은 마근보(봉동교 직전 상류, No. 106+240)에서 삼례취입보(전주천 합류 직후, No. 70+145)까지 약 9 km 구간이다(Fig. 1). 대상 구간내에는 8개의 보(삼례취입보(삼례교), 단암야보, 벌덕보, 하리보, 장자보, 구만하보, 구만리보, 마근보)가 존재하고 있으며, 두 개의 지류하천(소양천, 전주천)의 합류점이 존재한다. 대상구간의 갈수량은 2.73 m3/s, 저수량은 6.63 m3/s, 평수량은 11.44 m3/s, 풍수량은 21.63 m3/s(삼례교 하류 500 m 지점 수위 기준)이다. 대표입경은 18.5 mm, 에너지경사 0.00019~0.00659 m/m, 수면폭/수심은 44.4∼263.4 이다. 대상 구간은 과거 교호사주를 가진 하천형태에서 보 건설에 따라 유수의 흐름이 정체된 자연 늪지의 형태로 변화하였다(Fig. 2). 하도 곳곳에 하중도가 발달하고, 하도내 달뿌리풀이나 갈풀 같은 정수식물이 우점하고 있으며, 유수내 수중식물이 자생하고 있다(MOLIT, 2012). Hong et al. (2012)에 따르면, 본 연구 구간이 포함된 대상지에서 저수로 폭은 1918년 평균 44.1 m에서 2003년 147.1 m 로 증가하였고, 사행도(sinuosity)는 1918년 1.35에서 2003년 1.23으로 감소하였다.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kwra/2019-052-10S/N020052S203/images/kwra_52_S-2_03_F1.jpg
Fig. 1.

Study site of the Mangyeong River (Magun weir – Samrye weir: 9 km)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kwra/2019-052-10S/N020052S203/images/kwra_52_S-2_03_F2.jpg
Fig. 2.

Historical images of study site in the Mangyeong River

2.2 분석자료

1948년부터 2010년까지 60여년간의 서식처 변화를 5년간의 항공사진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1948년 항공사진은 국립지리원에서 다운로드하였으며, 1967년, 1973년, 1989년, 2010년 사진은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서 보유하고 있는 정사사진을 사용하였다. 항공사진의 촬영일자는 1948년(05. 26.), 1967년(03. 01.), 2010(06. 03.)이며, 1973년과 1989년의 촬영일자는 확인이 어려웠으나 수위가 상승하는 시기가 아닌 봄이나 가을로 추정되어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1967년 보를 기준으로 크게 6개 구간(A: 마근보-구만리보 , B: 구만리보-구만하보, C: 구만하보-장자보, D: 장자보-하리보, E: 하리보–벌덕보, F: 벌덕보–삼례취입보)으로 분류하였다(Fig. 2). 분석구간은 양안 제방을 기준으로 제외지를 대상으로 하였다.

2.3 서식처 구조 구분

서식처 구조의 유형은 지형(landform)과 하도 서식처(aquatic habitat)로 구분하여 분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지형으로 나지(bare land), 식생부(vegetated land), 수면부(water surface), 경작지(farm land), 교란지(artificial land)로 분류하였다. 나지는 모래나 자갈로 구성된 식생이 분포하고 있지 않은 나지를 나타내며, 2010년 항공사진을 제외한 회색조로 표현되는 과거 항공사진에서 주로 흰색으로 나타난다. 식생부와 경작지는 나지 이외에 식생으로 인하여 회색 내지 검은색으로 표현되는 부분으로 구분하였다. 경작지는 전답을 나타내는 격자무늬가 선명한 경우만으로 구분하였다. 식생영역도 전답으로 사용되고 있었을 가능성이 있으나 격자무늬가 없는 경우는 모두 식생부로 분류하였다. 수면부는 나지나 식생부, 고수부지 이외의 공간으로 구분하였으며, 교란지는 굴착되거나 하상 세굴의 형태가 명확하여 서식처로 구분하기 어려운 공간으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 대상 구간은 Table 1과 Fig. 3과 같이 항공사진을 통하여 확인이 가능한 물이 있는 서식처 유형만을 분류하였으며, 분류 유형은 자연여울(natural riffle), 인공여울(artificial riffle), 평여울(run), 완도(wando), 못(pond), 첩수로(chute channel) 등 이다. 자연여울은 하천 폭이 급격하게 좁아졌다가 넓어지는 구간, 혹은 사주와 사주사이 본류 구간에 포말이 확인되는 구간으로 구분하였다. 인공여울은 보에 의해 인공적으로 생기는 포말이 있는 구간, 보의 직하류 공간을 자연여울과 구분하여 분류하였다. 평여울은 여울과 여울 사이에 유수의 흐름이 명확히 확인 가능한 구간, 좁은 수로의 형태를 보이는 영역으로 수면부에서 여울을 제외한 나머지 구간으로 지정하였다.

Table 1. Classification of aquatic habitat in the Mangyeong River (Modified from Choi et al., 2018; Newson and Newson, 2000)

Habitat type Definition
Riffle Natural riffle Shallow flow with rough water surface overflowing a lateral bar
Artificial riffle Shallow flow with rough water surface made by artificial facility such as weir
Run Slow and rippled flow between riffles
Wando Head wando Lentic water located at the bar head opening to the channel
Tail wando Lentic water located at the bar tail opening to the channel
Mid wando Lotic water on water surface trapped by weirs
Pond Isolated lentic water on the bar
Chute channel Slow and shallow flow that dissects a bar surface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kwra/2019-052-10S/N020052S203/images/kwra_52_S-2_03_F3.jpg
Fig. 3.

Example of classification of aquatic habitats

완도라는 명칭은 정체수역이지만 본류와 연결되어 있는 지형 구조로, 일본 요도가와 성북지역의 완도가 잘 알려져 있다. Choi et al. (2018)은 완도를 머리 완도(head wando)와 꼬리 완도(tail wando)로 구분하여 서식처를 분류하였다. 머리완도와 꼬리완도는 지형학에서 구분하는 backwater와 유사한 형태로 물이 고여 있으나 본류와 맞닿아 있고 수위 상승기에 유수가 흘러가는 수로가 되는 영역이다. 사주의 상류부에 위치하는 경우를 머리완도라고 지정하였으며, 사주의 하류부에 위치하면 꼬리 완도라도 지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가지 완도 유형을 동일한 기준으로 사용하였으며, 중앙 완도(mid wando) 라는 서식처를 추가로 분류하였다. 만경강에서만 발견되는 서식처 형태로서, 본류 보와 보 사이 정체수역이면서 정수식물이나 수생식물에 둘러싸여 항공사진에서는 사방이 막혀져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하천 횡단 상 본류 수로부에 해당하는 서식처를 중앙 완도로 구분하였다. 못은 사주위에 고립된 웅덩이로 정하였으며, 수위 상승 시에만 유수가 흘러간다. 첩수로는 사주 위를 가로 질러 형성되어 있는 하도로서, 주하도(main channel)나 망류가 형성된 보조 하도(side channel)와 다르게 홍수 시 사주 위 세굴에 의하여 일시적으로 형성되는 닫힌 수로 형태로, 머리 완도, 못, 꼬리 완도와 연결되어 보조 하도가 되기도 하고, 범람이 지속되지 않을 경우 물이 사주부로 흡수되어 사라지기도 한다. 수로부 지형에는 여울, 평여울, 중앙 완도 유형의 서식처가 존재하며, 나지와 식생부에는 머리완도, 꼬리완도, 못, 첩수로가 존재한다. 경작지와 교란지 내부는 서식처로 구분하지 않았다.

지형과 서식처는 ArcView를 이용하여 구간별로 면적을 산출하였다. 모든 항공사진은 정사영상을 사용하여 고수부지 제방라인을 기준으로 ArcView에서 중첩하였다. 1948년도 소양천 합류부 일부 제방이 없는 구간은 다른 년도의 제방을 기준으로 면적을 산출하였다. 동일한 좌표체계를 가지고 있는 정사영상을 사용하였음에도 동일한 보의 위치가 경년별로 ± 0.5 m 오차가 발생하는 구간들이 있었기 때문에, 산출된 지형과 서식처의 면적은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실제 면적이 아닌 구간 별 백분율로 표시하였다.

3. 결 과

3.1 만경강의 지형 변화

만경강은 하도 전체를 가로지는 고정보(present weir)가 1973년 이후에 조성되었으며, 현재의 보가 조성되기 이전에는 저수로에만 소규모 보가 설치되어 있었다. 다만, 보의 형태가 임시적이거나 매우 낮은 것으로 추정된다. 만경강의 지형은 하천을 횡단하는 현재의 보가 건설된 이후로 크게 변화하였다. 1948년에 A구간 59%, B 구간 71%, C구간 73%에 달하던 나지는 보 건설 이후인 1989년에 모두 발견되지 않았다(Figs. 2, 3 and 4). 그리고 보의 건설 직전과 직후인 197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골재채취로 인한 교란지의 면적 비율이 A구간은 약 30~40%, E구간은 45%에 이른다. 보 건설 이후인 1989년과 2010년에는 전구간 수면부의 비율이 보 건설 전보다 증가하였다. B구간의 수면부는 1948년 8%에서 30%, C구간은 1948년 11%에서 2010년 44%로 증가하였다.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kwra/2019-052-10S/N020052S203/images/kwra_52_S-2_03_F4.jpg
Fig. 4.

Historical changes of landform ratio by site. (A: Magun weir-Gumanri weir, B: Gunanri weir-Gumanha weir, C: Gunanha weir-Jangja weir, D: Jangja weir-Hari weir, E: Hari weir–Bultok weir, F: Bultok weir–Samrye weir) ▼: small weir installation ▼: present weir installation

3.2 하도서식처 변화

Table 2는 서식처의 면적비율을 나타낸다. 사주위에 위치하고 있는 머리완도, 꼬리완도는 보 건설 전인 1973년까지는 발견되었으나 그 이후로는 관찰되지 않았고, 그에 반하여 중앙완도는 보 건설 이후인 1989년부터 관찰되었다. 첩수로는 1948년에만 발견되었으며, 그 이후로 항공사진에서 구분되지 않았다. 구간별 변화양상을 살펴보았을 때, B구간의 경우 1948년에는 중앙완도를 제외한 모든 서식처 유형(7가지)이 발견되었으나, 1968년과 1973년에는 5가지, 1989년과 2010년에는 4가지로 감소하고 있다.

Table 2. Historical changes of aquatic habitat ratio (%) (habitat area/ Mangyeong River area)

Year Site Riffle Run Wando Pond Chute channel
Natural By weir Mid Head Tail
1948 A 0.07 0.10 6.17 - - 0.04 - 3.19
B 0.06 0.27 8.04 - 0.66 5.42 0.63 0.43
C 0.11 - 11.04 - - 3.59 0.58 1.12
D 0.74 - 13.75 - 1.26 0.50 - 0.07
E 0.31 - 14.51 - - 1.38 - 0.33
F 0.23 - 13.30 - 0.14 0.06 0.22 1.72
Total 0.32 0.04 12.09 - 0.43 1.22 1.43 6.89
1967 A 0.23 0.20 17.84 - - 2.00 1.30 -
B 0.03 0.29 12.82 - - 0.79 4.93 -
C 0.03 0.53 12.51 - - 1.10 5.32 -
D 0.40 0.02 18.59 - 0.06 4.38 0.60 -
E - 0.38 16.41 - - 4.70 2.12 -
F 0.20 - 22.80 - 1.09 0.35 0.20 -
Total 0.20 0.14 18.65 - 0.41 2.06 1.56 -
1973 A 0.04 0.17 17.33 - 1.41 2.10 0.13 -
B 0.08 0.06 17.28 - 0.16 1.07 - -
C - 0.29 15.11 - 5.32 0.16 - -
D 0.20 0.03 22.68 - 0.36 0.47 0.16 -
E - 0.26 14.79 - - - - -
F 0.02 0.03 26.24 - 0.03 0.29 0.07 -
Total 0.07 0.09 21.34 - 0.70 0.55 0.08 -
1989 A - 0.18 - 22.91 - - - -
B 0.01 0.18 0.40 47.48 - - - -
C 0.03 0.35 - 35.98 - - - -
D 0.03 - 5.42 28.46 - - - -
E 0.05 0.11 1.51 37.27 - - - -
F - 0.02 1.38 28.88 - - - -
Total 0.01 0.09 1.96 31.81 - - - -
2010 A 0.08 0.21 4.73 23.67 - - - -
B 0.10 0.11 1.05 38.56 - - - -
C - 0.10 - 44.49 - - - -
D 0.15 0.02 2.45 31.48 - - 0.17 -
E 0.15 0.06 - 45.03 - - - -
F 0.24 0.03 3.50 30.19 - - 0.13 -
Total 0.16 0.07 2.42 33.64 - - 0.30 -

4. 고 찰

만경강의 형태적 변화는 1980년대 제방에서 제방을 잇는 하도 전체를 가로지르는 고정보가 건설되면서 명확하게 변화한다. 교호사주의 형태를 보이며 사행하던 만경강은 보의 건설로 사주의 형태가 모두 사라졌으며, 흐름이 저하되어 하도 내에도 침수식물이나 부유식물이 서식하게 되었다. 하지만 하도를 가로지르는 보가 건설되기 이전에도 현재 보가 있는 위치에 소규모 보가 조성되어 있었다(Fig. 2). 보의 형태가 임시적이거나 매우 낮은 것으로 추측되며, 나지를 제외한 물이 흐르는 저수로에만 설치되어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자연하천처럼 보이는 1989년 이전의 하천에서는 70년대 골재채취의 흔적을 볼 수 있으며, 1948년부터 1989년까지 지속적으로 제외지에서 식생부의 교란이나, 바닥을 갈아 전답으로 사용하려는 흔적을 찾아 볼 수 있다. 즉, 보 건설 뿐 만 아니라, 인위적인 교란행위가 나지 소멸과 같은 지형 변화에 영향을 미쳤을 거라고 판단된다.

하도서식처 유형의 변화는 보 건설 이후에 급격하게 변화한다. 일반적인 하천의 흐름인 평여울(run)은 급격하게 감소한 반면, 흐름이 다소 정체되어 습지와 유사한 중앙완도(mid wando)는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그와 동시에, 사주부 위에 존재하는 머리 완도(head wando), 꼬리완도(tail wando), 못(pond)과 같은 서식처 역시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머리완도나 꼬리완도는 사주에 형성되는 전형적인 하천 지형이며 서식처의 일종이다. 머리완도는 주로 여울이 형성되는 위치 즈음 사주의 상단부에 물의 흐름이 고여진 곳을 일컫는다. 머리완도는 수위가 상승했을 때 사주 위를 흘러내리면서 생기는 하강류(downwelling)를 보인다(Takemon, 2010). 머리완도를 통해 사주부의 지하(하상간극수역, hyporheic zone)로 흡수된 유수는 사주의 주재료인 자갈과 모래를 거쳐 조금씩 정화되며, 꼬리완도나 사주의 하류부로 흘러나온다. 그래서 꼬리완도의 경우 용출(upwelling)이 발생하는 양상을 보이며, 머리완도에 고여 있는 물에 비해 수온이 더 차갑고 깨끗하다(Choi et al., 2012). 완도와 완도사이를 가로지르는 물의 흐름은 사주를 관통하면서 못의 유지에 기여하기도 한다. 즉, 머리완도, 꼬리완도, 못은 수위가 상승했을 때 사주부 위를 가로지르는 수로의 일부이자 평상시에는 사주 위에 물이 고여 있는 형태로 유지된다. 이러한 서식처의 형태는 온전한 사주 형태를 가진 하천에서만 볼 수 있는 자연스러운 서식처의 유형이며 스스로 자정작용을 하는 필터링 역할을 하기도 한다. 그래서 하천복원 방안에서 머리완도, 못, 꼬리완도가 많이 구현될 수 있는 지형으로의 변화를 유도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으로 제안할 수 있다.

실제 생물종을 파악하기 위하여 관련 문헌을 검토한 결과에 따르면, 1973년 지류들에 유입되는 하수의 영향으로 다른 구간에 비하여 수질이 나쁘다는 결과가 있었으며(Ahn, 1973), 1980년대 골재채취로 인한 소음과 교란으로 붕어류가 우점하고 있는 결론이 언급되어 있었다(Lee et al., 1980). 아쉽게도 과거 하천 생물상의 결과가 거의 존재하지 않아 본 연구에서는 과거의 서식처 다양성과 생물 다양성을 연계 시키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다만 현재의 서식처 구조는 생물상과 밀접한 관계를 보이고 있다. 중앙완도는 습지와 유사하여 만경강 전 구간(연구대상 구간이외 포함)에서 생물다양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특히, 고산천교 일대의 신천습지(C구간)에서는 흑삼릉과 멸종위기야생식물 Ⅱ급인 가시연꽃이 생육하며, 본 연구대상지의 최상류 봉동교 일대에는 멸종위기야생동물 Ⅰ급인 감돌고기의 출현이 드러났다. 하상은 일반 습지처럼 실트가 쌓인 지역보다는 자갈이나 모래로 구성되어 있는 습지의 형태를 유지하고 있다(MOLIT, 2012). 보통의 습지는 고수부지와 같은 수로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부지에 형성되어 홍수 시에 범람하거나 별도의 수로로 연결되어 있는 반면에, 물이 흘러가는 주수로 내에 습지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하천관리자들은 생물다양성이 높은 현재의 하천환경을 유지할 것인지, 혹은 하천의 흐름을 되돌려 습지의 형태가 아닌 물이 더 많이 흐르는 형태로의 전환으로 변환할 것인가를 검토해 보아야 한다. 후자의 경우 보 전체의 철거나 제방 위치를 후퇴시키는 대규모의 사업보다는, 1989년 이전과 같이 하도의 일부분만을 차단하는 보(예를 들면, 하도 절반은 수로의 형태를 유지하면서 보의 절반은 남겨두고, 남은 절반부분에는 모래를 메워 사주의 형태를 만들어 주는 것 등)와 같이 자연하천의 형상을 단계적으로 복원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5. 결 론

본 연구구간인 만경강 중류에는 다수의 고정보가 설치되어 있다. 고정보가 설치되기 이전인 1970년대에도 소규모 보가 현재의 보 위치에 각각 존재하였지만, 사주부를 제외한 수로부에만 설치되어 하천 지형 및 하도서식처에 미치는 영향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현재의 고정보가 설치된 이후 하도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가장 높았던 나지는 사라졌으며, 식생부와 수면부의 비율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도서식처 변화 측면에서도, 과거의 소규모 보는 수로부 여울의 존재 유무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1980년대 고정보 설치를 기준으로 평여울(run)은 감소하고, 사주위에 존재하는 머리완도(head wando), 꼬리완도(tail wando), 못(pond)과 같은 서식처 역시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반면, 흐름이 다소 정체되어 습지와 유사한 중앙 완도(mid wando)는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시간에 따른 서식처 구조에 관한 연구는 항공사진 촬영 당시의 수위에 따라 변동 가능성이 높으나, 하천 환경의 잠재력을 파악하는데 유용한 자료로 이용하는데 의의가 있으며, 생태적이고 통합적인 하천관리를 위한 기초자료 제공 및 눈에 보이는 명확한 목표설정에 기여할 수 있다.

Acknowledgements

본 결과물은 환경부의 재원으로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의 물관리연구사업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습니다(79610).

References

1
Ahn, Y. G. (1973). "the pollution of the river (ManKyung) and its influence to the Benthos." Korean Journal of Limnology, Vol. 6, No. 3-4, pp.7-20.
2
Cho, S. W. (2007). "Changes in the role and meaning of Man-Kyeong river." Journal of The Korea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Vol. 13, No. 2, pp. 187-200.
3
Choi, M. K., Takemon, Y., and Sumi, T. (2012). "Historical changes of aquatic habitats and present species richness of macroinvertebrates in the Kizu River." 13th International Conferenceon Ephemeroptera · 17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Plecoptera, Wakayama, Japan.
4
Choi, M. K., Takemon, Y., Yu, W. S., and Jung, K. S. (2018). "Ecological evaluation of reach scale channel configuration based on habitat structures for river management." Journal of Hydroinformatics, Vol. 20, No. 3, pp. 622-632.
10.2166/hydro.2018.139
5
Gordon, N. D., MaMahon, T. A., Finlayson, B. L., Gippel, C. J., and Nathan, R. J. (2004). Stream hydrology, an introduction for ecologists. Second Edition, Wiley, Hoboken, N.J..
6
Hohensinner, S., Jungwirth, M., Muhar, S., and Schmutz, S. (2011). "Spatio-temporal habitat dynamics in a changing danube river landscape 1812-2006." River Research and Applications, Vol. 27, No. 8, pp. 939-955.
10.1002/rra.1407
7
Hong, I., Kang, J. G., and Yeo, H. K. (2012). "A study on the channel planform change using aerial photographs and topographic map in the Mangyoung River."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Vol. 45, No. 2, pp. 127-136.
10.3741/JKWRA.2012.45.2.127
8
Jowett, I. G. (1993). "A method for objectively identifying pool, run. and riffle habitats from physical measurements." New Zealand Journal of Marine and Freshwater Research, Vol. 27, No. 2, pp. 241-248.
10.1080/00288330.1993.9516563
9
Lee, C. Y., Yoon, I. B., and Kim, I. S. (1980). "A study on the dinamics of fish community in Mangeong river." Korean Journal of Limnology, Vol. 13, No. 1-2, pp. 23-38.
10
Lee, H. W., Kim, D. S., and Lee, S. H. (2012). "A case study of post-implementation evaluation for close-to-nature stream improvement work." Korea Academy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3, No. 3, pp. 1405-1411.
10.5762/KAIS.2012.13.3.1405
11
Ministry of Environment (ME) (2016a). Guidebook of ecological restoration of aquatic resources.
12
Ministry of Environment (ME) (2016b). Stream/river ecosystem survey and health assessment (IX) - Han River-. Konkuk University.
13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MOLIT) (2012). Mankyung river master plan report. Iksan Regional Construction and Management Administration.
14
Newson, M. D., and Newson, C. L. (2000). "Geomorphology, ecology and river channel habitat: mesoscale approaches to basin-scale challenges." Progress in Physical Geography, Vol. 24, No. 2, pp. 195-217.
10.1177/030913330002400203
15
Scott, M. T., and Nielsen, L. A. (1989). "Young fish distribution in backwaters and main-channel borders of the Kanawha River." West Virginia, Journal of Fish Biology, Vol. 35, No. sA, pp. 21-27.
10.1111/j.1095-8649.1989.tb03042.x
16
Shoffner, D., and Royall, D. (2008). "Hydraulic habitat composition and diversity in rural and urban stream reaches of the North Carolina Piedmont (USA)." River Research and Applications, Vol. 24, No. 8, pp.1082-1103.
10.1002/rra.1097
17
Takemon, Y. (2010). "Habitatology for linking sediment dynamism and ecology." International Symposium on Sediment Disasters and River Environment in Mountainous Area, pp. 25-32.
페이지 상단으로 이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