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esearch Article
-
A univariate Climate Response Function approach for evaluating structural adaptive strategies in the Dongjin River Basin
단변량 기후반응함수를 이용한 동진강유역의 구조적 기후적응 전략 평가
-
Kim, DaehaㆍChoi, Si Jung
김대하, 최시중
- Global warming and shifting precipitation patterns are intensifying water scarcity worldwide, exposing the limits of current water infrastructure. This study applies a …
온난화와 강수 패턴 변동성으로 전 세계 물 부족 문제가 가속화되며, 기존 수자원 인프라의 한계가 드러나고 있다. 본 연구는 단변량 Climate Response Function …
- Global warming and shifting precipitation patterns are intensifying water scarcity worldwide, exposing the limits of current water infrastructure. This study applies a univariate Climate Response Function (CRF) to quantify how climate change affects water supply reliability in a large-scale network linking the Seomjin, Yeongsan, and Dongjin River Basins. It also examines how structural strategies - such as upsizing small reservoirs and inter-basin water transfers - may mitigate reliability declines, using CRFs of the wetness index (the ratio of precipitation to potential evapotranspiration). After simulating natural streamflow with the GR6J model for 31 basins and optimizing water alloc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water supply reliability and climate stress was captured by the univariate CRF, and future reliability was projected using CMIP6 climate scenarios. Results show an exponential decline in reliability for the Dongjin River Basin below a wetness index of 1.2 under current management. Even with expanded reservoirs and inter-basin transfers, the CRF did not shift significantly, and minimal shortages were observed under 1991-2020 conditions. Although 2021-2050 projections vary, 2051 -2080 forecasts indicate a higher probability of drying, suggesting potential reliability losses. By employing a univariate CRF, this study provides a clear assessment of climate vulnerabilities and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maintaining existing reservoirs and transfer networks to ensure future water supply security.
- COLLAPSE
온난화와 강수 패턴 변동성으로 전 세계 물 부족 문제가 가속화되며, 기존 수자원 인프라의 한계가 드러나고 있다. 본 연구는 단변량 Climate Response Function (CRF)를 적용하여, 섬진강-영산강-동진강이 연결된 대규모 물공급 네트워크에서 기후변화가 이수안전도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중소규모 저수지 확충과 유역변경식 공급망 등 구조적 적응전략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습윤지수(평균강수량/평균잠재증발산량)를 기후 스트레스 지표로 삼고, GR6J와 물배분 최적화 모형을 통해 31개 중권역의 자연유출과 이수안전도를 추정하였다. 그 결과 동진강유역에서 습윤지수가 1.2 이하로 감소할 때 이수안전도가 급격히 하락했으며, 중소규모 저수지와 유역변경식 공급이 이를 완화하는 핵심 요인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저수지와 도수로 용량을 늘려도 이수안전도 CRF의 변화 폭은 크지 않았으며, 1991-2020 기후조건에서는 물부족이 크게 발생하지 않았다. CMIP6 기반 2021-2050 습윤지수 전망은 증가·감소가 혼재하나, 2051-2080에는 건조화 가능성이 커 이수안전도 저하가 우려된다. 본 연구는 단변량 CRF을 이용할 경우 복잡한 물공급 시스템에서 기후 취약성을 편의성 높게 진단할 수 있음을 제시하며, 향후 이수안전도 확보를 위해서 중소규모 저수지 및 유역변경식 공급망의 유지·운영이 중요함을 강조한다.
-
A univariate Climate Response Function approach for evaluating structural adaptive strategies in the Dongjin River Basin
-
Research Article
-
Exploring impact factors of domestic water demand in Chungcheong region using PLS-SEM and Bayesian networks
PLS-SEM과 베이지안 네트워크를 활용한 충청권역 생활용수 수요량 영향인자 분석
-
Kim, JiyoungㆍKim, Min JiㆍKim TaesikㆍKim, Tae-Woong
김지영, 김민지, 김태식, 김태웅
- Because domestic water demand is expected to change due to climate chang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regional customized water management …
기후변화에 따라 생활용수의 수요 변화가 예상되며, 이를 예측하고 반영하여 지역 맞춤형 물 관리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충청권역을 대상으로 부분최소제곱 …
- Because domestic water demand is expected to change due to climate chang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regional customized water management strategy considering changes of domestic water demand. This study quantitatively evaluated the effects of social, economic and climatic factors on domestic water demand in the Chungcheong region using partial least squar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PLS-SEM) and Bayesian network-based sensitivity analysis. The results show that economic factors, with an effect size of 0.324, have the most significant effect on water demand, particularly in areas with large industrial complexes. Social factors also demonstrated a moderate effect of 0.173, while climatic factors showed a relatively limited effect of 0.064. This study provides a basis for incorporating social, economic and climatic factors into the estimation of domestic water demand in the Chungcheong region, which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region-specific water management plans. It can be also useful to design efficient domestic water management policies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as well as social and economic structural changes.
- COLLAPSE
기후변화에 따라 생활용수의 수요 변화가 예상되며, 이를 예측하고 반영하여 지역 맞춤형 물 관리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충청권역을 대상으로 부분최소제곱 구조방정식(Partial Least Squar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PLS-SEM)과 베이지안 네트워크 기반 민감도 분석을 결합하여 사회/경제/기상학적 인자가 생활용수 수요량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분석 결과, 경제적 인자가 생활용수 수요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며, 그 효과 크기는 0.324로 평가되었다. 특히 대규모 공업단지가 위치한 지역에서 경제 발전에 따른 생활용수 사용량 증가가 두드러졌다. 사회적 인자 역시 0.173의 중간 효과를 보이며 생활용수 수요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반면, 기상학적 인자는 0.064로 상대적으로 낮은 효과를 보여 생활용수 수요에 미치는 영향이 제한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충청권역의 생활용수 수요량 산정에 사회·경제·기상학적 인자를 반영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하며, 이를 바탕으로 지역 맞춤형 물관리 계획 수립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기후변화와 사회·경제 구조 변화에 대응한 효율적인 생활용수 관리 정책을 설계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
Exploring impact factors of domestic water demand in Chungcheong region using PLS-SEM and Bayesian networks
-
Research Article
-
Snowfall intensity estimation based o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using CCTV data
합성곱 신경망을 활용한 CCTV 영상 기반 강설 강도 산정 방법론 개발
-
Byun, JongyunㆍKim, Hyeon-JoonㆍHwang, SeunghyunㆍBaik, JongjinㆍJun, Changhyun
변종윤, 김현준, 황승현, 백종진, 전창현
- This study proposes a model for estimating snowfall intensity using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CNNs) based on CCTV data. CCTV data from the …
본 연구는 합성곱 신경망(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CNNs)을 활용하여 CCTV 영상을 기반으로 강설 강도를 산정하는 모델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구름물리선도센터에서 수집된 CCTV 영상과 …
- This study proposes a model for estimating snowfall intensity using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CNNs) based on CCTV data. CCTV data from the Cloud Physics Observatory Station were synchronized with PARSIVEL measurements, defining an image-value framework where CCTV data served as inputs and PARSIVEL snowfall intensity as outputs. A k-Nearest Neighbor (kNN) algorithm was employed to extract snowfall particle information by calculating pixel differences between frames and dynamically updating foreground and background models. The data were cropped to a 640 × 640 pixel region of interest (ROI), excluding non-snowfall regions to enhance training efficiency. The CNNs-based image-value model was trained on 80% of 95,374 data points, with the remaining 20% reserved for testing. Performance evaluation involved random sampling of 500 test samples and analysis using five performance metrics. Results showed that the snowfall intensity estimated by image-value model closely matched PARSIVEL observation data, achieving the highest performance rating in two out of five metrics. This study demonstrates the effectiveness of integrating CNNs with generative models to enhance the accuracy of snowfall intensity estimation. Furthermore, it emphasizes that the incorporation of particle distribution data can facilitate more sophisticated and precise snowfall characterization.
- COLLAPSE
본 연구는 합성곱 신경망(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CNNs)을 활용하여 CCTV 영상을 기반으로 강설 강도를 산정하는 모델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구름물리선도센터에서 수집된 CCTV 영상과 PARSIVEL 데이터를 동일 시간대에 매칭하였으며, CCTV 영상을 입력 데이터로, PARSIVEL 강설 강도를 출력 데이터로 설정하여 image-value 모델을 정의하였다. CCTV 영상 내 강설 입자 정보를 추출하기 위해 k-최근접 이웃 알고리즘(k-Nearest Neighbor, kNN)을 활용하여 특정 프레임과 전경 및 배경 모델 간의 픽셀 차이를 계산하고 각각의 모델을 업데이트하였다. 또한, 원본 영상에서 관심 영역(Region of Interest, ROI)을 설정하여 640 × 640 크기로 입력자료를 재구성하고, 반복적으로 강설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영역을 제외함으로써 효율적인 모델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이후, 합성곱 신경망 구조를 기반으로 image-value 모델을 구성하였으며, 총 95,374개의 데이터 중 80%를 학습 데이터로, 나머지 20%를 테스트 데이터로 설정하여 각각 모델 학습과 정확도 검증에 활용하였다. 모델 성능 검증을 위해 테스트 데이터에서 500개의 데이터를 랜덤 샘플링하는 과정을 500회 반복하였고, 5개의 평가 지표를 기반으로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합성곱 신경망 기반의 image-value 모델로 산정된 강설 강도는 PARSIVEL에서 관측된 강설 강도와 전반적으로 유사한 패턴을 보였으며, 수문학 분야의 일반적인 모델 성능 평가 기준에 따라 분류한 결과, 5개의 주요 평가 지표 중 2개에서 최고 등급의 performance rating으로 분류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합성곱 신경망과 생성 모델을 연계하여 강설 강도 산정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며, 향후 입자 분포 자료를 활용하여 심층적인 강설 분석 연구로 발전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Snowfall intensity estimation based o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using CCTV data
-
Research Article
-
Assessment of bedload empirical equation applicability based on recent bedload meta-analysis data
최신 소류사 메타분석 자료 기반 소류사량 경험식 적용성 분석
-
Noh, HyoseobㆍSeo, Il WonㆍPark, Yong Sung
노효섭, 서일원, 박용성
- Accurate estimation of sediment transport is crucial for river management. However, currently, there are no sediment transport equations widely applicable under diverse …
하천 관리에서 중요한 인자인 유사량의 산정은 매우 중요하나 다양한 조건에서 적용할 수 있는 신뢰성 높은 소류사량 산정식은 거의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 Accurate estimation of sediment transport is crucial for river management. However, currently, there are no sediment transport equations widely applicable under diverse conditions. This study evaluates the applicability of existing sediment transport equations using the latest sediment transport metadata and analyzes factors influencing their applicability. For laboratory flume data, existing equations demonstrated meaningful explanatory power with the index of agreement (IoA) exceeding 0.65. In contrast, for natural river data, IoA values were mostly below 0.51, indicating limited applicability. This discrepancy is likely due to the greater complexity of hydraulic characteristics in natural rivers and the higher uncertainty in estimating shear stress compared to laboratory conditions. To improve the accuracy of the empirical equation, this study proposes several alternatives; introducing additional explanatory variables, utilizing alternative sediment transport parameters to replace shear stress, and developing equations that account for regime shifts. These approaches are expected to improve the accuracy of sediment transport estimation across various conditions.
- COLLAPSE
하천 관리에서 중요한 인자인 유사량의 산정은 매우 중요하나 다양한 조건에서 적용할 수 있는 신뢰성 높은 소류사량 산정식은 거의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신 소류사량 메타데이터를 활용하여 기존 경험식들의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고, 적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실험 수로에서 수집한 자료에 대해 기존 경험식들이 일치도 지수 0.65 이상의 유의미한 설명력을 보였으나, 자연 하천 자료에 대해서는 대부분 0.51 이하로 나타났다. 이는 자연 하천의 수리 특성이 실험 수로보다 복잡하고, 하천 마찰 응력 산정의 불확도가 크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산정식의 정확도를 개선하기 위해 추가적인 설명변수를 도입하는 방안, 실측이 어려운 바닥 마찰 응력을 대신할 대체 소류력 변수를 활용하는 방안, 양상 변동(regime shift)을 반영한 산정식 개발을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이러한 새로운 접근은 다양한 조건에서 소류사량 산정의 정확도를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Assessment of bedload empirical equation applicability based on recent bedload meta-analysis data
-
Research Article
-
Prediction of total organic carbon using multi-model ensemble based on satellite imagery in estuarine reservoir
담수호의 위성영상 기반 Multi-model Ensemble을 통한 TOC 예측
-
Kim, JinukㆍJang, WonjinㆍKim, Jin hwiㆍLee, Yong-GuㆍShin, JaekiㆍPark, YongeunㆍKim, Seongjoon
김진욱, 장원진, 김진휘, 이용구, 신재기, 박용은, 김성준
- This study aimed to indirectly estimate Total Organic Carbon (TOC) in the Namyang Reservoir using a combination of satellite remote sensing and …
본 연구는 위성 원격탐사와 머신러닝 기반 Multi-Ensemble 모델의 일종인 Stacking 모형을 결합하여 남양호에서 총유기탄소(Total Organic Carbon, TOC)를 간접적으로 추정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
- This study aimed to indirectly estimate Total Organic Carbon (TOC) in the Namyang Reservoir using a combination of satellite remote sensing and a machine learning-based Multi-Ensemble model. Sentinel-2A/B satellite data were used to construct reflectance datasets for the study area, and the HSIC-Lasso model identified 10 significant input variables (B4/B3, B4/B5, B2/B3, B8/B7, B4/B2, B1/B3, B1/B5, B8/B6, B5/B2, B2/B5) highly correlated with TOC. To predict TOC, a Stacking Ensemble model was developed using Support Vector Regression (SVR), Random Forest Regression (RFR), eXtreme Gradient Boosting (XGB), and Multi-Layer Perceptron (MLP) as base models, combined with six metamodels, including Partial Least Squares (PLS) and Ridge Regression (RID). The Stacking model achieved the highest predictive performance with R2 values of 0.963(train) and 0.886(test), and MAE and RMSE values of 0.697 mg/L and 1.556 mg/L, respectively, outperforming individual machine learning models. This study integrates satellite data and machine learning models to establish a cost-effective and sustainable framework for monitoring TOC. The accumulation of long-term TOC data is expected to enhance its applicability as a practical tool for water quality management and policy development.
- COLLAPSE
본 연구는 위성 원격탐사와 머신러닝 기반 Multi-Ensemble 모델의 일종인 Stacking 모형을 결합하여 남양호에서 총유기탄소(Total Organic Carbon, TOC)를 간접적으로 추정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Sentinel-2A/B 위성 데이터를 활용하여 연구 지역의 반사도 데이터를 구축하였으며, HSIC-Lasso 모델을 통해 TOC와 높은 상관성을 가지는 10개의 주요 입력변수(B4/B3, B4/B5, B2/B3, B8/B7, B4/B2, B1/B3, B1/B5, B8/B6, B5/B2, B2/B5)를 도출하였다. TOC를 예측하기 위해 Support Vector Regression (SVR), Random Forest Regression (RFR), eXtreme Gradient Boosting (XGB), Multi-Layer Perceptron (MLP)을 베이스모델로 사용하고, Partial Least Squares (PLS) 및 Ridge Regression (RID)를 포함한 6개의 메타모델을 결합한 Stacking Ensemble 모델을 개발하였다. Stacking 모델은 훈련 데이터와 테스트 데이터에서 각각 R² 값 0.963과 0.886, MAE 값 0.697 mg/L, RMSE 값 1.556 mg/L의 값을 보였으며, 단일 머신러닝 모델의 예측 성능보다 개선됨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 결과는 위성 데이터와 머신러닝 모델을 통합하여 TOC를 비용 효율적이고 지속 가능한 방식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기반을 제시하며, 추후 장기간의 TOC 데이터 축적을 통해 수질 관리 및 정책 개발을 위한 실용적인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rediction of total organic carbon using multi-model ensemble based on satellite imagery in estuarine reservoir
-
Research Article
-
Understanding seasonal and long-term trends in 21st century seasonal precipitation climatology through observation and high-resolution climate change scenarios
관측자료와 고해상도 시나리오를 활용한 평균과 극한 계절 강수량의 미래장기 추세 분석
-
Sung, KyungminㆍKim, JiHyun
성경민, 김지현
- Our study examines long-term trends in 21st century seasonal precipitation using high-resolution Korea National Standard Climate Change Scenarios and East Asia …
본 연구는 한반도 계절 강수량의 미래 변화를 정밀히 예측하기 위해 고해상도 국가 표준 시나리오와 동아시아 CORDEX 데이터를 활용하여 강수량의 장기 추세를 분석하였다. …
- Our study examines long-term trends in 21st century seasonal precipitation using high-resolution Korea National Standard Climate Change Scenarios and East Asia CORDEX data. The study specifically aims to evaluate nonstationary precipitation trends at the observation gauge scale for each season to contribute developing existing studies which primarily focused on coarse spatial and temporal scales, such as annual, or state level. Additionally, our study addresses minimizing biases between observational data and 11 climate change scenarios, and captures nonlinear and nonstationary precipitation trends shared among all datasets. Proposed approach enhances conventional methods, which typically analyze and compare long-term trends of individual precipitation datasets independently. To achieve this, we applied a Hierarchical Generalized Additive Model (HGAM) to precipitation datasets from Seoul, Daejeon, and Taebaek. This methodology enables to analyze long-term trends in mean precipitation, and extreme wet / drought (top/bottom 2% occurrence, respectively) conditions at the same time through single modeling process. The results indicate precipitation trends varies in season and region, but with a notable rise in spring and summer, and relatively stable autumn and winter trends. Furthermore, the SSP5-8.5 scenario exhibits a notable increase both in summer precipitation and variability between extreme wet and dry conditions, compared to SSP1-2.6 scenario. These findings provide a more detailed understanding in precipitation changes at the samll scale region South Korea, and a valuable scientific basis for adapting future climate change and managing water resources.
- COLLAPSE
본 연구는 한반도 계절 강수량의 미래 변화를 정밀히 예측하기 위해 고해상도 국가 표준 시나리오와 동아시아 CORDEX 데이터를 활용하여 강수량의 장기 추세를 분석하였다. 선행 연구들이 한반도의 강수량 변화를 연단위, 한반도 전체 등 큰 시공간 스케일로 예측한 결과를 더욱 발전시키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강수량의 비정상성(Nonstationarity) 추세를 지점 단위에서 계절별로 평가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또한, 각 강수량 자료의 추세를 독립적으로 분석 후 비교하는 방식으로 장기추세를 이해하던 기존 방식에서 벗어나 관측자료와 11종의 기후변화 시나리오의 편차를 보정하고, 각 자료가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강수량 비선형, 비정상성 변화추세를 도출해내는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연구 대상 지역인 서울, 대전, 태백의 전 강수량 자료에 계층적 일반화 가법 모형(Hierarchical Generalized Additive Model, HGAM)을 적용하였다.이를 통해 계절별 평균 강수량뿐 아니라 극단적인 우기(상위 2%)와 가뭄(하위 2%) 상태에서의 강수량 변동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계절별로 강수량의 증가 추세가 다르게 나타나며, 봄 여름 강수량 증가 추세가 두드러지는 반면 가을 겨울 강수량은 변화가 크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SSP1-2.6 시나리오에서는 강수량 변동성이 비교적 작은 반면, SSP5-8.5 시나리오에서는 여름철 강수량 증가 및 극단적인 습윤 및 가뭄의 강도가 더욱 증가하는 경향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한반도의 지역별 강수량 변화를 보다 정밀하게 이해하고, 미래 기후변화 대응 및 수자원 관리 전략 수립에 유용한 과학적 근거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
Understanding seasonal and long-term trends in 21st century seasonal precipitation climatology through observation and high-resolution climate change scenarios